“천은(天恩)으로 세손을 보전하여 주시길 바라나이다.” 비운의 사도세자 부인 혜경궁 홍씨가 남편이 뒤주에 갇히자 시아버지인 영조에게 올린 글이다. 뒤주에 갇혀 더위와 허기 속에 남편이 죽는, 망극한 일을 겪고도 그가 가장 먼저 염려한 것은 열한 살 아들 세손의 앞날이었다.
영조는 사도세자가 죽은 지 두 달여 지난 후 홍씨의 아들을 왕위를 이을 동궁으로 책봉한다. 아들이 동궁이 됐다고 홍씨의 근심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동궁 책봉은 왕이 되기 위한 첫걸음일 뿐 그 후의 갈 길은 더욱 멀고도 험했다. 세손은 ‘죄인’ 사도세자의 아들이었기 때문이다.
홍씨는 남편이 죽은 뒤 처음 영조를 만난 자리에서 아들 세손을 영조가 있는 경희궁으로 데려가 가르치길 간청한다. 영조가 “네 세손을 보내고 견딜까 싶으냐”고 걱정해도 “떠나 섭섭하기는 작은 일이요, 위로 모셔 배우기는 큰일이로소이다”라며 영조의 품으로 아들을 보낸다. 아들의 운명이 영조에게 달려 있다는 것을 잘 알았기 때문에 홍씨는 영조가 어머니를 보고 싶어 우는 어린 세손이 마음 아파 도로 데려가라고 해도 어미를 그리는 것은 사사로운 정이고, 할아버지를 받들어 정사며 나랏일을 배우는 것이 옳다고 마다한다.
홍씨는 영조의 딸이자 시누이인 화완 옹주에게도 각별한 정성을 쏟는다. 그는 ‘한중록’에서 화완 옹주를 무시하고 그의 행실을 비난했지만 영조의 사랑을 받는 화완 옹주를 이용해 아들이 영조의 눈 밖에 나지 않도록 ‘특별관리’한다. 목표는 단 하나 ‘아들의 보위’였다. 결국 홍씨는 아들을 정조로 등극시키는 데 성공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의 순탄치 않은 결혼 생활에도 불구하고 부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은 “이혼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부부 간의 일은 누구도 모르고 남의 가정사이기에 조심스럽긴 하지만 여성들 대부분은 노 관장이 이혼 문제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것을 보고 심정적 지지를 보내는 분위기다. 노 관장의 행보에는 어렵게 일궈 온 가정을 지키겠다는 뜻이 제일 크겠지만 아직 자녀들이 어려 기업의 후계 구도가 가시화되지 않은 점도 작용했을 것이다.
조선 왕실의 여성들은 오로지 아들을 낳아 왕위에 오르게 하는 것이 삶의 가장 큰 목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사도세자 사후 홍씨의 삶 역시 아들을 왕으로 만들기 위해 무수한 역경과 질시, 반목을 견디며 숨 막히는 왕실에서 살얼음판을 건너듯 살아왔다.
재벌가의 여인 노 관장도 남편 최 회장이 아직 젊고 경영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고 해도 자녀들의 후계 문제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누구보다 똑똑한 데다 명문가 친정을 두고 있고, 어려운 시기에 자식의 장래까지 내다보며 전략적인 행보를 한다는 점에서 혜경궁 홍씨와 노 관장은 닮아 보인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영조는 사도세자가 죽은 지 두 달여 지난 후 홍씨의 아들을 왕위를 이을 동궁으로 책봉한다. 아들이 동궁이 됐다고 홍씨의 근심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동궁 책봉은 왕이 되기 위한 첫걸음일 뿐 그 후의 갈 길은 더욱 멀고도 험했다. 세손은 ‘죄인’ 사도세자의 아들이었기 때문이다.
홍씨는 남편이 죽은 뒤 처음 영조를 만난 자리에서 아들 세손을 영조가 있는 경희궁으로 데려가 가르치길 간청한다. 영조가 “네 세손을 보내고 견딜까 싶으냐”고 걱정해도 “떠나 섭섭하기는 작은 일이요, 위로 모셔 배우기는 큰일이로소이다”라며 영조의 품으로 아들을 보낸다. 아들의 운명이 영조에게 달려 있다는 것을 잘 알았기 때문에 홍씨는 영조가 어머니를 보고 싶어 우는 어린 세손이 마음 아파 도로 데려가라고 해도 어미를 그리는 것은 사사로운 정이고, 할아버지를 받들어 정사며 나랏일을 배우는 것이 옳다고 마다한다.
홍씨는 영조의 딸이자 시누이인 화완 옹주에게도 각별한 정성을 쏟는다. 그는 ‘한중록’에서 화완 옹주를 무시하고 그의 행실을 비난했지만 영조의 사랑을 받는 화완 옹주를 이용해 아들이 영조의 눈 밖에 나지 않도록 ‘특별관리’한다. 목표는 단 하나 ‘아들의 보위’였다. 결국 홍씨는 아들을 정조로 등극시키는 데 성공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의 순탄치 않은 결혼 생활에도 불구하고 부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은 “이혼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부부 간의 일은 누구도 모르고 남의 가정사이기에 조심스럽긴 하지만 여성들 대부분은 노 관장이 이혼 문제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것을 보고 심정적 지지를 보내는 분위기다. 노 관장의 행보에는 어렵게 일궈 온 가정을 지키겠다는 뜻이 제일 크겠지만 아직 자녀들이 어려 기업의 후계 구도가 가시화되지 않은 점도 작용했을 것이다.
조선 왕실의 여성들은 오로지 아들을 낳아 왕위에 오르게 하는 것이 삶의 가장 큰 목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사도세자 사후 홍씨의 삶 역시 아들을 왕으로 만들기 위해 무수한 역경과 질시, 반목을 견디며 숨 막히는 왕실에서 살얼음판을 건너듯 살아왔다.
재벌가의 여인 노 관장도 남편 최 회장이 아직 젊고 경영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고 해도 자녀들의 후계 문제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누구보다 똑똑한 데다 명문가 친정을 두고 있고, 어려운 시기에 자식의 장래까지 내다보며 전략적인 행보를 한다는 점에서 혜경궁 홍씨와 노 관장은 닮아 보인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6-01-0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