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년 음악회라면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하지만 서양 음악의 역사가 길지 않은 한국에서 ‘합창 교향곡’ 연주의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다. 전곡 초연은 1948년 11월 27일 서울교향악단의 정기 연주회에서 이루어졌다. 서울시립교향악단과는 다른 악단이다. 지휘는 미군정청이 파견한 서울중앙방송국 고문 롤프 제이컵이 맡았다.
‘합창 교향곡’의 연주 시간은 일반적으로 75분을 넘고, 지휘자에 따라서는 80분을 넘기기도 한다.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베이스바리톤 등 4명의 독창자가 필요한 데다 합창단 인원은 다다익선(多多益善)이다. 피콜로와 콘트라바순, 베이스트롬본 같은 특수악기도 들어간다. 더불어 무궁무진한 스케일의 음악을 건실하게 완성해가려면 상당한 음악적 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당시 ‘합창 교향곡’의 초연을 소개한 신문 기사는 ‘출연자는 동 악단원과 합창단원을 합하여 무려 300명이라 하는데, 이와 같은 대기획은 우리나라 양악단(洋樂團) 최초의 성사(成事)’라고 기대를 표시했다. 독창자로는 소프라노 김천애, 메조소프라노 김혜란, 테너 이인범, 베이스 김형노 등 당대 최고의 성악가들이 나섰다. 합창은 ‘예술대학 음악부 합창단’이 맡았는데, 아마도 각 대학 성악과 학생들로 꾸린 연합 합창단으로 짐작된다.
연주평도 실렸다. 먼저 ‘기술적으로 뒤떨어진 것은 있었으나 조선의 현실과 문화의 후진성에 비추어 악조건을 극복한 기획과 용기에는 경의를 표한다’고 격려했다. 그러면서 ‘실러의 ‘환희의 노래’가 말하듯 분열에서 통일하려는 조선의 앞날을 위해 이번 공연의 시대적 의의는 컸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남북이 각각 정부를 수립한 1948년의 ‘합창 교향곡’에는 ‘모든 인간은 형제가 된다’는 ‘환희의 송가’처럼 통일을 향한 염원이 담겨 있었다.
‘합창 교향곡’은 독일 라이프치히의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가 1918년 12월 31일 첫 번째 제야 음악회에서 연주한 이후 송년 음악회 레퍼토리로 정착됐다는 설(說)이 있다. 이 연주회를 지휘한 헝가리 출신 니키슈 아르투르(1855~1922)는 독일을 중심으로 영국을 오가며 활동했지만, 제1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에는 영국 입국이 거부됐다. 전쟁이 끝난 직후 열린 제야 음악회에서 연주된 ‘합창’에는 ‘평화’의 이미지가 더욱 부각됐을 것이다.
이제 ‘합창’ 연주회는 연말 이벤트쯤으로 폄하되기도 한다. 하지만 지역 교향악단에는 여전히 등정이 쉽지 않은 큰 봉우리다. 연말 서울시향과 KBS교향악단을 비롯해 부산시향, 인천시향, 대전시향, 울산시향, 부천시향, 성남시향이 ‘합창’을 연주한다. 대부분 광역시급 이상이다. 부천과 성남은 교향악단 투자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리 동네 교향악단’의 ‘합창’ 완주에 대한 희망과 도전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합창 교향곡’의 연주 시간은 일반적으로 75분을 넘고, 지휘자에 따라서는 80분을 넘기기도 한다.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베이스바리톤 등 4명의 독창자가 필요한 데다 합창단 인원은 다다익선(多多益善)이다. 피콜로와 콘트라바순, 베이스트롬본 같은 특수악기도 들어간다. 더불어 무궁무진한 스케일의 음악을 건실하게 완성해가려면 상당한 음악적 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당시 ‘합창 교향곡’의 초연을 소개한 신문 기사는 ‘출연자는 동 악단원과 합창단원을 합하여 무려 300명이라 하는데, 이와 같은 대기획은 우리나라 양악단(洋樂團) 최초의 성사(成事)’라고 기대를 표시했다. 독창자로는 소프라노 김천애, 메조소프라노 김혜란, 테너 이인범, 베이스 김형노 등 당대 최고의 성악가들이 나섰다. 합창은 ‘예술대학 음악부 합창단’이 맡았는데, 아마도 각 대학 성악과 학생들로 꾸린 연합 합창단으로 짐작된다.
연주평도 실렸다. 먼저 ‘기술적으로 뒤떨어진 것은 있었으나 조선의 현실과 문화의 후진성에 비추어 악조건을 극복한 기획과 용기에는 경의를 표한다’고 격려했다. 그러면서 ‘실러의 ‘환희의 노래’가 말하듯 분열에서 통일하려는 조선의 앞날을 위해 이번 공연의 시대적 의의는 컸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남북이 각각 정부를 수립한 1948년의 ‘합창 교향곡’에는 ‘모든 인간은 형제가 된다’는 ‘환희의 송가’처럼 통일을 향한 염원이 담겨 있었다.
‘합창 교향곡’은 독일 라이프치히의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가 1918년 12월 31일 첫 번째 제야 음악회에서 연주한 이후 송년 음악회 레퍼토리로 정착됐다는 설(說)이 있다. 이 연주회를 지휘한 헝가리 출신 니키슈 아르투르(1855~1922)는 독일을 중심으로 영국을 오가며 활동했지만, 제1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에는 영국 입국이 거부됐다. 전쟁이 끝난 직후 열린 제야 음악회에서 연주된 ‘합창’에는 ‘평화’의 이미지가 더욱 부각됐을 것이다.
이제 ‘합창’ 연주회는 연말 이벤트쯤으로 폄하되기도 한다. 하지만 지역 교향악단에는 여전히 등정이 쉽지 않은 큰 봉우리다. 연말 서울시향과 KBS교향악단을 비롯해 부산시향, 인천시향, 대전시향, 울산시향, 부천시향, 성남시향이 ‘합창’을 연주한다. 대부분 광역시급 이상이다. 부천과 성남은 교향악단 투자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리 동네 교향악단’의 ‘합창’ 완주에 대한 희망과 도전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12-28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