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쓰레기통의 1억 수표/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쓰레기통의 1억 수표/주병철 논설위원

주병철 기자
입력 2015-10-04 23:02
수정 2015-10-05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짧은 기간의 미국 생활에서 가장 당황스러웠던 것 중의 하나가 현금 지불이었다. 쇼핑몰이나 음식점에서 결제할 때다. 카드 대신 100달러짜리 지폐를 꺼내 들면 점원의 눈이 둥그레진다. 카드가 아닌 현금에 놀라고, 10달러짜리도 아닌 100달러짜리를 내놓는 데 의심하는 눈치다. 피곤하다는 표정으로 ‘카드로 할 수 없느냐’고 묻는다. 장소에 따라서는 ‘현금은 받지 않는다’고 딱 자른다. 더러는 거스름돈이 부족해 미안하다며 카드 결제를 유도한다. 100달러짜리를 들고 다니는 예가 흔치 않은 미국 사회에서 이방인이 불쑥 내놓는 큰돈에 질릴 법도 하다. 문화적 차이라고 둘러대 봤자 뜨악해하는 그들을 이해시키는 건 무리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현금 선호주의는 알아줘야 한다. 지금이야 카드 문화가 정착돼 지갑에 돈이 없다고 주눅 들 이유는 없지만 불과 5~10년 전만 해도 현금을 지니고 다녀야 마음이 편하다고 느꼈던 게 사실이다. 6·25 전쟁 통에 남쪽으로 내려온 실향민들의 현금에 대한 집착은 여기에 비할 바가 아니다. 혈혈단신으로 넘어온 탓에 믿을 곳이라고는 첫째도, 둘째도 현금이라고 스스럼없이 말할 정도다.

현금을 좋아하기로는 일본도 못지않다. 하지만 우리와는 좀 다르다.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일본으로서는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금리가 낮아 은행에 돈을 맡길 수가 없는 데다 행여 금융파산으로 은행에 맡겨 둔 돈을 찾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지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깔려 있다. 노인들이 세상을 떠난 뒤 장롱이나 천장 등에서 현금 다발이 종종 발견된다는 소식을 들으면 그럴 만도 하겠다 싶다.

현금 보유나 거래는 현금 선호주의를 넘어갈수록 탈세·증여 또는 뇌물의 성격으로 악용되고 있는 게 문제다. 우리나라의 유명 성형외과 등 병원, 명품 및 보석 가게 등의 현금거래가 탈세의 온상으로 지목된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토록 사회문제화됐건만 몇 달 전 5만원권 600장이 든 피로회복제 ‘비타500’ 박스 전달 사건이 터져 난리를 친 걸 보면 음성적 현금 거래의 진화에 혀를 내두를 판이다. 이번 국감에서 한 국회의원이 1만원권의 지폐환수율이 90%를 넘는 데 비해 매년 16조원 가까이 발행되는 5만원권의 경우 25%에 그치고 있다며 환수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 것도 일리가 있다.

그제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쓰레기장에서 100만원권 수표 100장, 1억원어치가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위조된 수표는 아니라고 한다. 발견된 장소는 차치하더라도 수표 주인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 해당 수표가 10여개 시중은행에서 골고루 발행됐다는 점, 금액이 무려 1억원이나 되는 점, 편지봉투에 담겨 있었다는 점 등 궁금한 게 한둘이 아니다. 사실관계는 곧 밝혀지겠지만 수표도 현금이나 마찬가지여서 뒷맛이 영 께름칙하다. 기우였으면 좋겠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5-10-05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