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다시 열리는 북·중 호시(互市)/서동철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다시 열리는 북·중 호시(互市)/서동철 수석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입력 2015-10-02 18:00
수정 2015-10-02 2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구룡정에 이르니 곧 배 떠나는 곳이다. … 깃대 셋을 세워 문을 삼고 금물(禁物)을 뒤지니, 중요한 것으로 황금·진주·인삼·초피(貂皮·담비 종류의 짐승 털)와 포(包), 그리고 남은(銀·한도를 초과하는 은)이 있고, 별것 아닌 품목이라도 새것이나 옛것을 통틀어 수십 종에 달하므로 이루 셀 수 없었다. … 하인들에게는 웃옷을 풀어헤치게도 하고, 고의(袴依·남자의 바지) 아래를 훑어보며 비장이나 역관에게는 행장을 끌러 보이게 한다.”

연암 박지원(1737~1805)의 유명한 ‘열하일기’의 일부이다. 연암 일행은 의주에서 압록강을 건너 지금의 단둥(丹東) 외곽 구련성(九連城)에서 묵었다. 다시 압록강 지류인 애라하를 건너야 본격적인 청나라 땅이다. 애라하 강변에서 관원들은 일행의 짐 보따리를 수색했다. 규모를 초과하거나 교역을 금지하는 물건을 찾는 것이다. 역관과 하인들은 매우 심하게 몸수색을 당했던 것 같다. 연암은 이 장면을 “이불 보따리와 옷 꾸러미가 강 언덕에 너울거리고 가죽 상자와 종이 상자가 풀밭에 어지러이 뒹군다”고 묘사했다.

한반도와 중국 대륙 사이의 상거래는 사람이 살기 시작한 이후 계속됐다. 하지만 국가 개념이 생기고 국경이 갈리면서 가까운 지역이라도 교역이 어려운 때도 있었다. 고려와 송나라가 조공무역과 민간무역으로 활발하게 교역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조공무역은 송나라에 보내는 조공품(朝貢品)과 고려에 돌려주는 회사품(廻賜品)이라는 상징적 차원의 교환 수준을 크게 넘어섰다. 두 나라가 교환한 물목은 30가지가 넘고 물량도 막대하여 사실상의 국가 간 공무역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 학계의 인식이다. 정종은 여진족에 대한 친화정책으로 국경 지역에 호시(互市)를 허용하기도 했다. 일종의 자유무역지대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가 되면 교역에 신중해진다. 초기에는 명나라와의 제한된 조공무역과 일본과의 소규모 공무역이 잠시 있었을 뿐이다. 왜란 직후 부산 왜관의 동래 개시(開市)는 최초의 본격적인 무역의 시작이었다. 호란 이후에는 청나라의 요구로 압록강 연안의 중강과 두만강 연안의 경원, 회령에 호시를 열었지만 폐단이 드러나면서 오래지 않아 철폐된다. 이후 사행길에 동행한 역관과 하인의 비공식 교역에 대한 의존도는 매우 높아진다. 연암 일행이 심하게 몸수색을 당한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사행길의 밀무역으로 상당한 재산을 챙긴 역관도 적지 않았다.

북한과 중국이 신의주와 국경을 맞댄 단둥에서 호시무역을 15일부터 재개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양쪽의 접경 지역 주민으로 하루 148만원 이하 물품이면 관세 없이 교역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북·중은 1997년과 2005년에도 접경 지역에 호시를 허용했지만, 곧 문을 닫아걸었다. 이번만큼은 활성화해 북한 주민들에게 최소한의 혜택이라도 돌아갔으면 한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10-03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