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니캅의 역설/구본영 논설고문

[씨줄날줄] 니캅의 역설/구본영 논설고문

구본영 기자
입력 2015-06-21 23:16
수정 2015-06-21 23: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메르스는 뜨겁지만 건조한 날씨와 궁합이 잘 맞는 건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2012년 첫 발병 이래 이 ‘열사의 땅’에서 줄곧 맹위를 떨치고 있다. 본래 낙타에서 사람에게 전염된다는 메르스 바이러스가 낙타도 없는 한국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어 장마철인데도 건조한 요즘 날씨가 왠지 마음에 걸린다.

메르스가 창궐한 사우디에서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감염 사례가 적다고 한다. 확진자도 여성이 남성의 절반 수준이지만, 발병 이후 사망률도 여성이 현저히 낮았다고 최근 외신이 전했다. 지난해 세계 의학저널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사우디 남성 확진자는 사망률이 52%였으나 여성은 23%에 불과했다. 물론 바이러스가 성별을 가릴 리는 만무하다. 그래서 “사우디에서 여성 환자가 적은 것은 ‘니캅’이 평소 입과 코를 가려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라이나 매킨타이어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라는 분석이 그럴싸하다.

니캅은 눈 빼고는 얼굴과 몸을 모두 가리는 이슬람 여성들의 전통 의상이다. 이슬람 문화권에선 여성들이 집 밖으로 나갈 때 베일을 두르는 게 종교적 전통이다. 다만 나라별로 사회적 분위기나 이슬람 율법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복식도 다양하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세속화된 터키에서는 얼굴은 드러내는 머릿수건인 히잡이 일반적이다. 반면 사우디 여성들의 니캅이나, 이란 여성들이 뒤집어쓰는 차도르는 훨씬 몸을 많이 가린다. 눈조차 망사로 가리는 부르카는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의 영향력이 강한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이 많이 착용한다.

세상만사는 새옹지마인가. 이슬람 여성들의 베일은 서구 민주주의의 시각으로 보면 여성 억압의 상징이다. 하지만 니캅이나 부르카가 이제 중동 여성들을 메르스로부터 보호하고 있다니 기막힌 역설이다. 영국의 어느 사학자의 명언이 생각난다. 그는 “역사적 사건에는 역사의 진로를 사람들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돌리는 성질이 있다”고 했다. 다람쥐가 겨울잠 이후 땅속에 도토리를 저장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는 바람에 상수리나무 군락 형성에 도움을 주듯이 말이다.

우리의 경우 남녀 간 메르스로 인한 사망률의 큰 차이가 없단다. 다분히 여성 차별적인 이슬람 문화가 여성들의 메르스 감염을 막는 기제가 되고 있는 건 사실인 것 같다. 하지만 중동과 달리 낙타 고기를 먹지 않는 한국에서 메르스가 확산된 이유는 뭘까. 보건 당국의 초동 대응 실패를 더 거론하는 것도 지겹다. 지금까지 한국에서의 메르스 감염은 환자들이 거쳐 간 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아무래도 ‘한국적 병실 문화’도 메르스가 번지는 데 일조를 했을 듯싶다. 환자들이 이 병원 저 병원 옮겨다니는 ‘의료 쇼핑’이나 침상이 다닥다닥 붙은 다인실 병동으로 문병객들이 제한 없이 드나드는 관행을 되돌아봐야 할 때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5-06-22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