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는 송나라와의 외교관계를 발전시키면서 교역 규모도 늘릴 수 있었다. 사신의 왕래를 이용한 조공무역은 물론 개성 상인을 일컫는 송상(松商)의 사무역도 활발했다. 고려의 국제항은 수도 개경에서 가까운 예성강 하류의 벽란도였다. 당시 바닷길은 벽란도에서 대동강 어귀 초도를 거쳐 중국 산둥반도 등주(登州)에 닿는 북선항로와 벽란도에서 흑산도를 거쳐 중국 명주로 가는 남선항로가 있었다. 처음에는 북선항로를 주로 이용했지만, 북쪽의 거란이 송나라를 주눅들게 할 만큼 세력이 커지자 남선항로로 대체됐다.
남선항로를 이용한 교류의 모습은 송나라 사신 서긍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구체적으로 서술해 놓았다. 그는 인종 1년(1123년) 뱃길로 고려에 다녀가면서 보고 들은 것을 그림과 함께 자세히 담았다. 서긍을 비롯한 송나라 사신 일행은 5월 16일 오늘날의 저장성 닝보인 명주를 출발해 6월 3일에는 흑산도를 스쳐 지나간다. 이어 6일 요즘은 선유도로 불리는 군산도 군산정, 8일 마도 안흥정, 9일 자연도 경원정, 12일 예성항 벽란정에서 각각 묵은 뒤 10일 개경에 도착한다. 군산정과 안흥정, 경원정, 벽란정은 고려가 중국 사신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설치한 객관이었다. 사신단을 영접하고 연회를 베풀었던 중요한 외교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충남 태안 마도에 안흥정이 세워진 것은 고려 문종 31년(1077년)이다. 안흥정 이전에는 보령 고만도에 객관이 있었다. ‘고려사’에는 ‘중국 사신들을 맞이하고 보내기에 고만도의 객관은 배가 정박하기에 불편하다. 청컨대 홍주 관하 정해현 땅에 정각을 창건하는 것이 좋겠다’는 주청을 문종이 받아들여 이름을 안흥(安興)으로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서긍은 이곳을 지나며 ‘앞으로는 바위 하나가 바다로 잠겨들어 있어 격렬한 파도는 회오리 치고, 들이치는 여울은 세찬 것이 매우 기괴한 모습이어서 뭐라고 표현할 수가 없다. 배들이 감히 가까이 접근하지 않는다. 암초에 부딪칠까 염려하는 것이다. 여기에 안흥정이라는 객관이 있다’고 적었다. 조선 초기의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예로부터 통과하기가 어렵다는 난행량(難行梁)으로 불렸는데, 조운선이 여러 차례 패몰했으므로 사람들이 그 이름을 매우 싫어하여 안흥량으로 고쳤다’고 했던 바로 그곳이다.
실제로 난파 사고가 빈번했던 태안 마도 주변은 지금 해양 고고학의 보고로 떠올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07년 태안선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마도 1·2·3호선으로 각각 명명한 고려 시대 선박을 발굴 조사했다. 올해는 지난해 발견한 조선시대 선박을 조사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마도 바닷길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이곳에 얼마나 많은 과거사의 흔적이 잠들어 있는지는 정말 아무도 모른다. 더불어 땅위 안흥정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는 발굴 조사도 본격화해야 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남선항로를 이용한 교류의 모습은 송나라 사신 서긍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구체적으로 서술해 놓았다. 그는 인종 1년(1123년) 뱃길로 고려에 다녀가면서 보고 들은 것을 그림과 함께 자세히 담았다. 서긍을 비롯한 송나라 사신 일행은 5월 16일 오늘날의 저장성 닝보인 명주를 출발해 6월 3일에는 흑산도를 스쳐 지나간다. 이어 6일 요즘은 선유도로 불리는 군산도 군산정, 8일 마도 안흥정, 9일 자연도 경원정, 12일 예성항 벽란정에서 각각 묵은 뒤 10일 개경에 도착한다. 군산정과 안흥정, 경원정, 벽란정은 고려가 중국 사신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설치한 객관이었다. 사신단을 영접하고 연회를 베풀었던 중요한 외교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충남 태안 마도에 안흥정이 세워진 것은 고려 문종 31년(1077년)이다. 안흥정 이전에는 보령 고만도에 객관이 있었다. ‘고려사’에는 ‘중국 사신들을 맞이하고 보내기에 고만도의 객관은 배가 정박하기에 불편하다. 청컨대 홍주 관하 정해현 땅에 정각을 창건하는 것이 좋겠다’는 주청을 문종이 받아들여 이름을 안흥(安興)으로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서긍은 이곳을 지나며 ‘앞으로는 바위 하나가 바다로 잠겨들어 있어 격렬한 파도는 회오리 치고, 들이치는 여울은 세찬 것이 매우 기괴한 모습이어서 뭐라고 표현할 수가 없다. 배들이 감히 가까이 접근하지 않는다. 암초에 부딪칠까 염려하는 것이다. 여기에 안흥정이라는 객관이 있다’고 적었다. 조선 초기의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예로부터 통과하기가 어렵다는 난행량(難行梁)으로 불렸는데, 조운선이 여러 차례 패몰했으므로 사람들이 그 이름을 매우 싫어하여 안흥량으로 고쳤다’고 했던 바로 그곳이다.
실제로 난파 사고가 빈번했던 태안 마도 주변은 지금 해양 고고학의 보고로 떠올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07년 태안선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마도 1·2·3호선으로 각각 명명한 고려 시대 선박을 발굴 조사했다. 올해는 지난해 발견한 조선시대 선박을 조사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마도 바닷길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이곳에 얼마나 많은 과거사의 흔적이 잠들어 있는지는 정말 아무도 모른다. 더불어 땅위 안흥정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는 발굴 조사도 본격화해야 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04-25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