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은 가난한 환경에서 자라 장학재단까지 운영한 입지전적 기업인이었다. 자원개발 비리 혐의로 수사 중 스스로 목숨을 끊을 때까지 충청권을 중심으로 정·관계에 그물망 인맥을 구축한 ‘마당발’ 정치인이기도 했다. 그 말고도 이수성 전 국무총리와 김상현 전 의원도 정치판의 마당발이었다. 타고난 친화력을 바탕으로 발이 넓다면 정치인으로선 강점일 게다. 하지만 팔도에 형·아우들이 널려 있다는 말을 들은 두 사람도 대선 후보급 정치인이 되진 못했다.
성 전 회장이 2013년 4·24 재선거를 앞두고 돈을 담은 ‘비타500 박스’를 들고 이완구 총리의 선거사무소를 방문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가 이 총리에게 선거 지원금으로 3000만원을 전달했다는 경향신문의 14일자 녹취록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다. 당장 이 보도들이 맞다고 단정할 순 없다. 이 총리가 “돈 받은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고까지 부인하는 데다 “당시 재선거 후보등록 첫날이라 기자 수십 명이 (사무실에서) 기다리고 있었지만 도청 행사에 있었다”고 알리바이도 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총리 현금 수수설의 진위는 수사를 통해 가릴 사안이다. 다만 현재로서도 분명한 건 ‘비타500 박스에 든 현금’이란 희화적 그림이 거론될 만큼 우리 정치권이 우스꽝스럽게 돌아간다는 슬픈 사실이다. 이 총리를 지난 20개월간 23차례 만났다는 등 여야를 초월해 유력 정치권 인사들과의 만남을 빼곡히 기록한 성 전 회장의 비망록을 보라. 대부분 호텔이나 고급 레스토랑에서 만나 비타500만 마시고 헤어질 리는 만무하다. 그 자체로 이미 돈 많이 쓰는 정치가 벌어진 형국이다.
성 전 회장이 돈을 줬다는 메모지가 정국을 뒤흔들고 있다. 물론 허태열·김기춘·이병기 전·현 청와대 비서실장이나 이 총리 등 거명된 8인이 모두 부인하는 마당이다. 하지만 메모지 내용이 사실이라면 그 파장이 어디로 튈지는 예측조차 어렵다. 당장엔 그의 분노가 후원금만 챙기고 간절한 구명 요청을 ‘생깐’(안면을 바꾼) 친박 실세를 겨냥했겠지만, 이번에 공개된 명단은 ‘성완종 리스트’의 발췌본에 불과할 수 있는 탓이다. 이는 이 총리가 그제 국회에서 “난 받지 않았지만, 다른 의원들은 (성 전 회장) 후원금을 받지 않았나”라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에게 역공을 편 데서도 짐작된다.
인류학자 로빈 던바는 조직에서 집단을 관리할 때 150명이 최적이라고 했다. 이 이론을 토대로 전북대 강준만 교수는 그의 책(감정독재)에서 ‘마당발 인간관계’는 어차피 피상적일 수밖에 없다고 봤다. 우리 사회에 크로니즘(정실주의)이 만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일 게다. 하지만 로비나 인간관계로 기업을 경영하거나 정치적 목표를 이루는 데 한계가 있다는 걸 몰랐던 데서 ‘마당발 정치인’ 성완종의 비극이 시작됐는지도 모르겠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성 전 회장이 2013년 4·24 재선거를 앞두고 돈을 담은 ‘비타500 박스’를 들고 이완구 총리의 선거사무소를 방문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가 이 총리에게 선거 지원금으로 3000만원을 전달했다는 경향신문의 14일자 녹취록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다. 당장 이 보도들이 맞다고 단정할 순 없다. 이 총리가 “돈 받은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고까지 부인하는 데다 “당시 재선거 후보등록 첫날이라 기자 수십 명이 (사무실에서) 기다리고 있었지만 도청 행사에 있었다”고 알리바이도 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총리 현금 수수설의 진위는 수사를 통해 가릴 사안이다. 다만 현재로서도 분명한 건 ‘비타500 박스에 든 현금’이란 희화적 그림이 거론될 만큼 우리 정치권이 우스꽝스럽게 돌아간다는 슬픈 사실이다. 이 총리를 지난 20개월간 23차례 만났다는 등 여야를 초월해 유력 정치권 인사들과의 만남을 빼곡히 기록한 성 전 회장의 비망록을 보라. 대부분 호텔이나 고급 레스토랑에서 만나 비타500만 마시고 헤어질 리는 만무하다. 그 자체로 이미 돈 많이 쓰는 정치가 벌어진 형국이다.
성 전 회장이 돈을 줬다는 메모지가 정국을 뒤흔들고 있다. 물론 허태열·김기춘·이병기 전·현 청와대 비서실장이나 이 총리 등 거명된 8인이 모두 부인하는 마당이다. 하지만 메모지 내용이 사실이라면 그 파장이 어디로 튈지는 예측조차 어렵다. 당장엔 그의 분노가 후원금만 챙기고 간절한 구명 요청을 ‘생깐’(안면을 바꾼) 친박 실세를 겨냥했겠지만, 이번에 공개된 명단은 ‘성완종 리스트’의 발췌본에 불과할 수 있는 탓이다. 이는 이 총리가 그제 국회에서 “난 받지 않았지만, 다른 의원들은 (성 전 회장) 후원금을 받지 않았나”라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에게 역공을 편 데서도 짐작된다.
인류학자 로빈 던바는 조직에서 집단을 관리할 때 150명이 최적이라고 했다. 이 이론을 토대로 전북대 강준만 교수는 그의 책(감정독재)에서 ‘마당발 인간관계’는 어차피 피상적일 수밖에 없다고 봤다. 우리 사회에 크로니즘(정실주의)이 만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일 게다. 하지만 로비나 인간관계로 기업을 경영하거나 정치적 목표를 이루는 데 한계가 있다는 걸 몰랐던 데서 ‘마당발 정치인’ 성완종의 비극이 시작됐는지도 모르겠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5-04-1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