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경단녀’/문소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경단녀’/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4-12-31 00:06
수정 2014-12-31 0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경단녀’는 결혼이나 출산·육아 등으로 사회·경제적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을 말한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다시 일자리를 찾고 있지만 수년간의 공백이 원인이 돼 어려움을 겪는 여성이어야 경단녀다. 육아 휴직에 들어갔다가 ‘육아에만 전념하라’는 남편과 시집 등의 압력으로 직장으로 복귀하지 않고 순응해 일자리를 찾지 않는다면 경단녀라고 볼 수 없다. ‘경단녀’라는 단어가 거론될 때마다 밤톨만 한 크기로 동글동글 빚어 삶은 떡에 팥고물이나 꿀이나 엿물을 바른 달콤한 경단(瓊團)이 떠올랐다가 지나가지만, 일자리를 찾아 헤매는 경단녀의 현실은 북풍한설처럼 가혹할 것이다. 왜 기혼 여성들이 경단녀가 돼 다시 일자리를 찾게 됐는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미국 드라마 ‘굿 와이프’에서는 시카고 쿡카운티 주검사장인 남편 피터 플로릭이 수뢰 혐의로 감옥에 들어가자 생계를 책임지게 된 아내 알리샤 플로릭이 13년 만에 변호사로 재취업에 나선다.

15년 전엔 직장에서 성공한 여성들은 “자아실현”이라고 발언하곤 했다. 그러나 요즘 경단녀의 일자리 찾아주기를 두고 누가 자아실현을 운운할까 싶다. 집안일에 전념해야 한다던 여성 다수를 사회로 불러낸 첫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이었다. 공장을 돌릴 노동력이 부족했던 때다. 남자들이 전쟁터에 나갔으니 말이다. 코코 샤넬이 ‘샤넬라인’이라고 종아리가 드러나는 치마를 선보이고, 웃옷에 주머니를 단 활동적인 의상들을 선보이던 무렵이다. 전쟁이 끝나고서 여성들은 가정으로 돌아갔지만, 다시 불려 나올 수밖에 없었다. 기업 측에서 볼 때 여성의 임금은 남성보다 쌌던 탓이다. 남성의 임금은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가하게 되면서 하락하기 시작한다. 남성 노동력의 대체재로서 여성이 있었던 것이다. 미숙련된 어린 소년과 여성의 노동력을 착취하던 산업혁명 초기의 혹독한 자본주의를 지나 대량생산과 경영의 ‘포디즘’으로 노동 가격이 상승했지만, 그 황금기를 지난 요즘은 임금이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기계 노동이나 해외이민 노동 등이 끼어들었다.

‘저녁이 있는 삶’도 필요하고, 부모가 육아를 책임질 수 있도록 맞벌이가 아니더라도 생활이 유지되는 사회를 희망한다. 그럼에도 경단녀가 필요하다면 제대로 된 인센티브가 작동해야 한다. 정부가 새해부터 경단녀를 고용하는 중소기업의 세금을 깎아 준다는데, 그 기준이 너무 엄격해 논란이다. 단절 기간 3년 미만이 가장 많은데 정부의 세제 혜택은 3~5년 이내로 못 박았기 때문이다. 정책의 실효성은 높이고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접점을 찾아야 할 듯싶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12-31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