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경제개방 정책이 거침없다. 최근 열린 주요20개국(G20)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 호주·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그제는 홍콩과 상하이 주식시장을 교차 거래하는 ‘후강퉁’을 개시했다. 빗장을 푸는 기세가 ‘역발산 기개세’라 할 만하다. 아세안은 물론 지난해에는 스위스와 FTA를 체결해 유럽연합(EU) 진출의 교두보로 삼고 있다. 세계 경제의 맹주 자리를 꿰차겠다는 주요2개국(G2) 중국의 야심으로 보인다.
중국이 개방 발걸음에 속도를 내는 것은 자신감이다. 그동안 ‘세계의 공장’으로 불렸지만 ‘세계의 시장’이 되겠다는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다. 양의 팽창에서 질의 발전을 추구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경제 규모(GDP)는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라섰고, 수출과 외환보유고 등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 경제의 중심 자리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도 5000달러를 넘어 ‘소비점화 시대’에 진입해 있다. 경제 발전을 이끌었던 1선급 도시들은 1만 달러를 넘어섰고 2, 3선급 도시들도 6000달러에 이르렀다.
중국은 덩샤오핑이 동남부 지역을 시찰하면서 천명한 남순강화(南巡講話)로 개방정책을 추진한 이후 ‘점→선→면’의 경제발전 전략을 구사해 왔다. 특정 지역인 점(點)을 먼저 발전시키고, 이를 연결한 인근 지역(線)과 대륙 전역(面)으로 발전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동남부 연해 중심 지역인 상하이의 푸둥이 대표적이다. 면의 시대 진입은 경제 전략이 지역 중심과 소비재 중심으로 옮아 가는 방증이다. 중국 정부는 최근 들어 권역별·도시별 경제 성장을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다. 시동을 건 서부개발 계획이 대표적이다.
중국과의 FTA 체결은 우리에게 1992년 한·중 경제교류 이후 또 한 번의 전환점이 될 듯하다. 수교 이후 교역 규모는 무려 35배로 증가했다. 수출은 미국과 일본을 합친 것보다 많고 수입은 일본을 앞질러 1위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중국 신설 법인은 큰 폭으로 줄었다. 2006년 2200여곳에서 올 상반기에는 300여곳으로 급감했고, 중국 투자 기업의 3분의1이 진출했던 산둥성에는 한때 1만여개의 법인이 설립됐으나 4800개로 줄었다. 인건비 상승과 세제 지원 감소 때문이다.
중국의 경제개방 확대는 우리 기업의 대중 투자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고한다. 기존보다 더 미시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미국의 자동차 회사인 GM이 1992년 중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100명당 1대를 팔겠다고 호언했지만, 수백대 판매에 그치는 수모를 당했다. GM은 시장이 성숙한 2002년에 재진입해 안착했다. 중국 투자에 성공하려면 때와 현지화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중국이 개방 발걸음에 속도를 내는 것은 자신감이다. 그동안 ‘세계의 공장’으로 불렸지만 ‘세계의 시장’이 되겠다는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다. 양의 팽창에서 질의 발전을 추구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경제 규모(GDP)는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라섰고, 수출과 외환보유고 등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 경제의 중심 자리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도 5000달러를 넘어 ‘소비점화 시대’에 진입해 있다. 경제 발전을 이끌었던 1선급 도시들은 1만 달러를 넘어섰고 2, 3선급 도시들도 6000달러에 이르렀다.
중국은 덩샤오핑이 동남부 지역을 시찰하면서 천명한 남순강화(南巡講話)로 개방정책을 추진한 이후 ‘점→선→면’의 경제발전 전략을 구사해 왔다. 특정 지역인 점(點)을 먼저 발전시키고, 이를 연결한 인근 지역(線)과 대륙 전역(面)으로 발전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동남부 연해 중심 지역인 상하이의 푸둥이 대표적이다. 면의 시대 진입은 경제 전략이 지역 중심과 소비재 중심으로 옮아 가는 방증이다. 중국 정부는 최근 들어 권역별·도시별 경제 성장을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다. 시동을 건 서부개발 계획이 대표적이다.
중국과의 FTA 체결은 우리에게 1992년 한·중 경제교류 이후 또 한 번의 전환점이 될 듯하다. 수교 이후 교역 규모는 무려 35배로 증가했다. 수출은 미국과 일본을 합친 것보다 많고 수입은 일본을 앞질러 1위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중국 신설 법인은 큰 폭으로 줄었다. 2006년 2200여곳에서 올 상반기에는 300여곳으로 급감했고, 중국 투자 기업의 3분의1이 진출했던 산둥성에는 한때 1만여개의 법인이 설립됐으나 4800개로 줄었다. 인건비 상승과 세제 지원 감소 때문이다.
중국의 경제개방 확대는 우리 기업의 대중 투자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고한다. 기존보다 더 미시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미국의 자동차 회사인 GM이 1992년 중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100명당 1대를 팔겠다고 호언했지만, 수백대 판매에 그치는 수모를 당했다. GM은 시장이 성숙한 2002년에 재진입해 안착했다. 중국 투자에 성공하려면 때와 현지화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11-19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