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파 방정환 선생이 1923년 5월 5일에 발표한 어린이날 선언문에는 어린이의 인격권과 행복권이 들어 있다. “어린이를 종래의 윤리적 압박으로부터 해방하여 완전한 인격적 대우를 허용”한다는 인격권과 “어린이를 재래의 경제적 압박으로부터 해방하여 연소노동을 금지”한다는 아동노동 착취 금지, “어린이가 배우고 즐겁게 놀 수 있는 가정과 사회시설을 보장할 것”과 같은 행복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 등이 주된 내용이다. 일제강점기에 어린이날 행사는 탄압을 받은 탓에 1945년 해방돼서야 다시 5월 5일을 회복할 수 있었다.
민족의 운명이 가장 어두웠던 시기에도 어린이의 행복에 큰 가치를 부여하려고 사회적 노력을 했는데, 21세기를 사는 한국의 어린이들은 삶이 불행하다고 느낀단다. 단군 이래 최고로 잘산다는 요즘 배부른 소리라고 치부할 수 있을까.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말 4007가구를 대상으로 0~17세 아동의 삶에 대해 종합실태 조사를 한 결과 한국 아동의 ‘삶 만족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였다. 100점 만점에 네덜란드 아동이 94.2점으로 만족도 1위일 때 한국은 60.3점으로 30위를 기록했다. 22위인 미국이 84.2점이고, 29위 루마니아조차 76.6점으로 훨씬 높다.
특히 한국 아동의 결핍률은 OECD 최고를 기록했는데, 아동의 52.8%가 정기적인 취미활동이나 스포츠, 동아리 활동을 하지 않는다. 아동의 26.1%는 자전거를 타고 야외활동을 하는 일도 없고, 아동의 22.4%는 생일잔치, 가족행사 등의 이벤트에 참여하지 않았다. 공부 열심히 해 좋은 성적을 내라고 스트레스는 잔뜩 주면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취미활동이나 야외활동도 없는 거다. 또 중고생은 물론 초등학교 고학년만 돼도 학교 시험 기간에 가족 행사에 불참해도 용인해 주는 공통체적 삶이 붕괴하는 한국 사회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보릿고개’도 극복해 먹고살 만한 부자 나라가 됐다고 생각했는데, 빈곤가구 아동의 42%가 형편이 어려워 밥을 굶고 있었다. 특히 한부모·조손 가구의 결핍률은 75.9%로 심각한 수준이었다. 매끼 과일·채소 섭취나 한 끼 이상 육류·생선을 먹지 못하는 아동도 각각 19.7%와 15.7%였다. 교과서 이외의 책이 없는 아동도 7명 중 1명꼴이다. 심각한 것은 지난 15년 동안 14차례나 교육 과정이 바뀌면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10대 사망률 1위가 자살로 나타나는 이유를 어렴풋이 알 것도 같다. 어릴 때 행복했던 기억들이 고통스러운 삶의 현장을 뚫고 나가는 힘이 된다. 이웃에 공감하는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라도 아동이 행복하도록 대책을 내고 배려해야 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민족의 운명이 가장 어두웠던 시기에도 어린이의 행복에 큰 가치를 부여하려고 사회적 노력을 했는데, 21세기를 사는 한국의 어린이들은 삶이 불행하다고 느낀단다. 단군 이래 최고로 잘산다는 요즘 배부른 소리라고 치부할 수 있을까.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말 4007가구를 대상으로 0~17세 아동의 삶에 대해 종합실태 조사를 한 결과 한국 아동의 ‘삶 만족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였다. 100점 만점에 네덜란드 아동이 94.2점으로 만족도 1위일 때 한국은 60.3점으로 30위를 기록했다. 22위인 미국이 84.2점이고, 29위 루마니아조차 76.6점으로 훨씬 높다.
특히 한국 아동의 결핍률은 OECD 최고를 기록했는데, 아동의 52.8%가 정기적인 취미활동이나 스포츠, 동아리 활동을 하지 않는다. 아동의 26.1%는 자전거를 타고 야외활동을 하는 일도 없고, 아동의 22.4%는 생일잔치, 가족행사 등의 이벤트에 참여하지 않았다. 공부 열심히 해 좋은 성적을 내라고 스트레스는 잔뜩 주면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취미활동이나 야외활동도 없는 거다. 또 중고생은 물론 초등학교 고학년만 돼도 학교 시험 기간에 가족 행사에 불참해도 용인해 주는 공통체적 삶이 붕괴하는 한국 사회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보릿고개’도 극복해 먹고살 만한 부자 나라가 됐다고 생각했는데, 빈곤가구 아동의 42%가 형편이 어려워 밥을 굶고 있었다. 특히 한부모·조손 가구의 결핍률은 75.9%로 심각한 수준이었다. 매끼 과일·채소 섭취나 한 끼 이상 육류·생선을 먹지 못하는 아동도 각각 19.7%와 15.7%였다. 교과서 이외의 책이 없는 아동도 7명 중 1명꼴이다. 심각한 것은 지난 15년 동안 14차례나 교육 과정이 바뀌면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10대 사망률 1위가 자살로 나타나는 이유를 어렴풋이 알 것도 같다. 어릴 때 행복했던 기억들이 고통스러운 삶의 현장을 뚫고 나가는 힘이 된다. 이웃에 공감하는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라도 아동이 행복하도록 대책을 내고 배려해야 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11-0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