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전단(삐라) 심리전/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전단(삐라) 심리전/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09-25 00:00
수정 2014-10-07 2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50, 60대 장년층은 전단(傳單·삐라)의 추억을 하나쯤 갖고 있다. 북한에서 띄워 보낸 조악한 ‘불온 삐라’를 주워본 경험이다. 호기심보다 무장공비가 옆에 숨은 듯해 무서워 얼른 학교나 지서(파출소)에 신고해야 했고, 하지 않으면 죄의식마저 가졌었다. 신고를 많이 하면 학용품도 받았다. ‘방공과 방첩’ 문구가 동네 어귀에 자리했던 때의 ‘삐라 단상’이다.

삐라는 독일의 나치가 처음으로 활용했다지만 미국이 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서 애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됐다. 영어 ‘Bill’(빌)을 일본인들이 제대로 발음하지 못해 ‘삐루’라 하면서 유래됐다는 설도 있다. 그 유래가 어쨌든 삐라는 우리에게 좌우와 남북 대치의 소산물이고 시대에 따라 내용을 달리해 왔다. ‘해방이 삐라와 함께 왔다’고 할 정도로 좌우의 대결 수단이었고, 한국전쟁 때는 ‘종이 폭탄’으로 불리며 심리·선전전으로 이용됐다. 1960년대 이후에는 남북간의 체제 우월성과 비방의 수단으로 바뀌었다.

한국전쟁은 거대한 ‘삐라 전쟁터’였다. 국방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전쟁 때 미군이 뿌린 삐라의 양은 40억장이었다. 눈이 내린 것처럼 무릎까지 수북이 쌓였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당시 심리전 매체로 라디오와 확성기도 있었지만 삐라만 못했다. 북한군 포로의 70%가 삐라를 보고 항복했다고 한다. 중앙정보부가 1960년대 펴낸 ‘심리전의 교범’에도 심리전에는 삐라가 가장 낫다고 적고 있다. 이런 이유로 삐라는 쌀가루 사탕인 옥춘당(玉春糖)에 자주 비유되곤 한다.

활용한 사례들도 흥미롭다. 북한이 띄워 보낸 ‘의거 월북하는 국군 장병들에게’란 삐라에는 월북하면 공짜로 대학을 보내주고, 고급 주택을 주는 등 평생 생활을 보장한다고 선전했다. 생활보장금이 당시 우리 돈으로 1억~3억원이었으니 허풍을 쳐도 세게 쳤다 싶다. 반면 우리는 김일성 일가의 호화 생활과 경제 발전상을 알렸다. 삐라를 실은 풍선에는 항시 식품과 약제, 생필품 등을 넣어 보냈다.

탈북자 단체가 며칠 전에 대북 삐라 20만장을 북한으로 날려 보내자 북한 당국은 “도발 원점을 초토화하겠다”며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정은 일가의 실상과 우리의 경제 발전사를 담은 책, 미화 1달러짜리 1000장을 담았다. 우리 정부는 민간단체의 행위를 막을 근거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북한의 민감한 반응은 여러 번 있었다. 풍선을 저격하는 조직까지 있다고 들린다. 남북의 삐라 공세는 김대중 정부의 대북 햇볕정책 이후 잠잠했다가 이명박 정부가 대북 강경노선을 걸으면서 재개됐다. 전쟁이 끝난 지 반세기를 넘겼는데도 아물지 않은 우리 민족의 씁쓸한 모습이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9-25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