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철일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사실 학생들은 코로나19 이전에도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기반 온라인 학습을 해 왔다. ‘인강’이라 불리는 강의가 대표적인 예다. 학교 밖에서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반복적으로 배울 수 있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학교 안 형편은 그렇지 못했다. 교사만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고 학생들은 인쇄물 교과서와 자료집으로 공부했다. 우리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와 관련한 자율성, 역량, 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로 나타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터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학생별로 디지털 기기를 지니고 학교에서 공부하는 BYOD(Bring Your Own Device) 정책을 검토했지만 부정적 인식 탓에, 그리고 재정 우선순위에서 밀리며 크게 호응받지 못했다.
그러다 갑작스레 닥친 코로나19로 자연스럽게 모든 학생들이 PC,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으로 배우게 됐다. 줌과 같은 실시간 화상 강의 시스템으로 교사 및 친구들과 상호작용을 시작했다. 교사는 개별적이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보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수업에서도 기대되는 중요한 교육적 경험이며, 코로나19에 따른 새로운 교육은 전통적인 학교 교육 방식에 변혁의 촉매제가 될 수도 있다.
이제 학교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과 코딩 능력, 인공지능 활용 및 데이터 분석력은 특정 교과 안에서, 혹은 인쇄물 자료집만으로는 체득하기 어렵다. 언제, 어디서든지 휴대할 수 있는 노트북이나 태블릿PC를 학생 개인별로 지니고 학교 안과 밖에서 자연스럽게 배우고 활용하도록 역량을 길러 줘야 한다. 게임이나 유해사이트 접속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지만, 해결 방안도 꽤 나왔다. 균형 잡힌 디지털 역량을 갖추라면서 손 놓고 있을 것인가, 아니면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디지털 기기를 바르게 활용하도록 기회를 줘야 할 것인가.
2021-12-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