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코로나19는 온라인 교육 시대를 열었다. 앞으로 교육 혁신의 성공은 에듀테크를 얼마나 잘 활용할지에 달렸다. 여기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접목해 꿈과 진로에 따른 ‘맞춤형 학습 시대’를 여는 것도 과제다. 교사의 역할은 바뀌어야 하고, 배우는 내용과 방법에서도 대전환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도 교육을 둘러싼 이념 다툼은 여전하고 갈등이 만연하다. 교사들은 지쳤고, 뒤처진 학생은 늘어났다. 국민은 교육 갈등을 치유하고 학교의 교육력을 높여 줄 ‘교육 대통령’을 보고 싶다.
나라는 세계 10위권이라는데, 대학 경쟁력은 부끄럽기 짝이 없다. 아날로그 시대의 규제를 풀지 못하는 정부가 안타깝다. 대학을 옥죄는 고등교육법령부터 확실히 바꾸겠다고 선언하면 대학은 변화와 혁신으로 답할 것이다. 비용이 아니라 투자라는 관점에서 고등교육 예산을 늘릴 때, 우리도 초일류 대학을 가질 수 있다. 지방 대학은 지역 혁신 거점으로 탈바꿈하고, 지역 소멸도 막는다. 집단 무력감에 빠진 대학 사회는 새로운 돌파구를 보여 줄 지도자를 원한다.
교육은 희망의 상징이었다. 지금은 ‘고통’을 주는 원인이 됐다. 좋은 유치원에 보내려면 ‘대기표’를 받아야 한다. 국가가 유아교육을 책임지겠다고 공약하는 후보에게 표심이 몰릴 것이다. 나라는 부자가 됐는데, 학교는 낙후됐다. 화장실이든, 식수대든, 냉난방이든 학교를 내 집처럼 쾌적하게 만들겠다고 약속해 보라. 어린 손주를 학교에 보내는 할머니, 할아버지는 그런 후보를 반길 것이다.
2030 청년 세대가 바라는 건 일회성 지원이 아니다. 꿈을 펼칠 ‘기회’다. 원하는 모든 청년에게 인턴을 보장하고 맘 놓고 창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후보가 있다면 젊은이들은 열광하지 않을까.
코로나19가 끝나가면서 세계는 다시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교육 혁신과 인재 경쟁부터 발동을 걸었다. 나라의 미래는 ‘창의적 학습 국가’를 어떻게 만드느냐에 달렸다. 본선이 시작됐다. 누가 시대정신을 꿰뚫고 국민의 마음을 살 것인가.
2021-11-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