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원 농촌유토피아연구소장
코호트급 격리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나 할까. 그래서 그런지 최근 들어 농촌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귀농귀촌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와 같은 재해 발생 시의 가족 피난처로 ‘세컨드 하우스’를 구하는 경우도 꽤 있다고 한다.
주지하다시피 농산어촌이 죽어 가고 있다. 그동안 온갖 처방이 내려졌지만 백약이 무효였다. 엄청난 정부 예산이 투입됐지만 그 효과는 전무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제에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또는 민간 영역에서 효과적인 유인책을 제시한다면 소멸 위기에 처한 농산어촌을 부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침 최근에 성공 사례가 하나 나왔다. 함양에 위치한 서하초등학교는 시골 면 단위의 작은 학교로 전교생 수는 10명에 불과했다. 이런 학교를 살리기 위해 지난해 민관이 함께 노력한 결과 전국에서 많은 학생들이 지원해 현재는 26명의 학생이 등교하고 있다. 학생들 전입으로 인해 늘어난 함양 인구는 총 50명에 이르고 있다.
폐교 위기의 작은 학교도 살고 면 단위의 농촌도 살아나게 된 것이다. 어린 학생들과 젊은 학부모들이 들어오니 면 단위 시골 마을의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 게다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는 학부모를 위한 주택을 지어 주기로 했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함양군, 함양교육청, 경남도 등에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이른바 농촌 유토피아 사업의 새로운 모델이 하나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극심한 도시 집중 현상을 완화해 국토균형발전을 도모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다. 폐교 위기에 있는 농산어촌의 작은 학교 통폐합은 답이 아니다. 오히려 작은 학교는 도시민들을 유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의 장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전문가의 참여도 필요하다. 천편일률적인 농산어촌 살리기에서 과감하게 벗어나야 한다.
앞으로 코로나로 말미암아 도시민들의 농촌 회귀는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농촌 유토피아 사업을 저마다 제대로 특색 있게 해 나간다면 농산어촌이 오히려 도시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농촌도 살고 도시도 살고 우리나라가 사는 길이다.
2020-07-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