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
서구의 역사적 시계는 빠르게 움직였다. 전쟁 없는 미래라는 설계도는 과거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했다. 서구의 역사적 시곗바늘을 빠르게 돌린 것은 가해국의 진지한 반성과 여성시민의 평화 염원 외침을 수용한 결과였다. 전쟁을 반대하는 여성시민의 평화운동이 헬싱키 프로세스를 거쳐 탈냉전 시대를 앞당겼다.
한국에서도 역사의 시간은 더디지만 앞으로 나아갔다.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드러내는 것은 당사자의 용기와 그것을 허용하게 만드는 사회적 환경이 결합될 때만 가능했다. 그 환경을 만들어 낸 것이 지난 30년간의 일본군 위안부 운동이었다. 이 과정을 통해 수십 명이 자신의 삶을 기록으로 남겨 주었지만 대다수는 여전히 다른 사람이 아는 것을 꺼려 한을 안은 채 생을 마감했다.
생존자 17명 중에서도 신원 노출을 꺼리는 분들이 있다. 정부 지원이 시작된 1993년 이후 기본적인 생활안정 지원에 건강치료가 2001년, 간병비 지원이 2006년 추가됐고, 2015년 맞춤형 지원이 설계됐다. ‘지원’에 대한 사회적 동의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고령과 임종이라는 생물학적 한계와 함께 사회적 동의를 구성할 수 있었다.
기림의 날을 맞아 마음이 바쁘다. 피해자들의 피해 사실 복원은 역사 정의 구성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그간의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성과도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한다. 귀중한 증언 자료에 대한 치밀한 2차 연구도 더 필요하다. 학문 후속 세대도 양성해야 한다. 아시아 지역에 흩어져 있는 원자료 수집·번역 등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국가 간 연구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도 만들어야 한다.
이 어려운 짐을 감당하려면 미래에 대한 공동의 비전과 설계도가 필요하다. 여성인권과 평화라는 가치는 지구촌은 물론 우리도 동의한 가치다. 공동의 비전 속에서 부지런히 의지의 기억 기념 활동을 다져야 할 때다. 시간이 없다.
2020-07-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