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문화재산업과 전통문화 한류/정상철 한국전통문화대 문화재관리학과 교수

[기고] 문화재산업과 전통문화 한류/정상철 한국전통문화대 문화재관리학과 교수

입력 2018-10-01 23:30
수정 2018-10-02 0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월 경주에서 문화재청 주관으로 국제문화재산업전이 열렸다. 3000여명의 문화재 업계 종사자들이 다녀갈 만큼 성황이었다. 우리 문화재에 관한 뜨거운 관심에 내 가슴도 뜨거워졌다.
이미지 확대
정상철 한국전통문화대 문화재관리학과 교수
정상철 한국전통문화대 문화재관리학과 교수
전통적인 문화재에 ‘산업’이라는 현대 용어가 결합된 게 의아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문화재’라 부르는 물건들을 영국은 ‘유산자산’(heritage asset)으로 부른다. 미국에서는 ‘문화자원’(cultural resources)이라고 부른다.

영국에서는 역사적인 건조물의 수리와 유지 보수로 연간 약 96억 파운드(14조 1432억원)의 생산 활동이 건설업 부문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유산부문에 27만 8000여명이 고용돼 있다. 해당 분야에서는 직접적으로 약 119억 파운드(17조 5317억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하며, 간접적 연관 효과까지 포함하면 220억 파운드(32조 4117억원) 규모에 이른다.

이는 영국 전체 부가가치의 약 2%를 차지한다. 미국의 문화자원관리산업 분야에서도 연간 약 12억 달러(1조 3374억원)의 매출이 발생하고, 1300여개의 기업과 전문가 1만여명이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출발은 비록 두 나라보다 늦었지만, 내용 면에서 이 국가들보다 더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속도 면에서도 더 빠르다. 대표적으로 ‘문화재돌봄사업’과 ‘지역문화재활용사업’을 들 수 있다. 이 사업들로 수행단체 수백 개가 창업했다. 관련 기술도 꾸준히 쌓이고 있다.

문화재돌봄사업은 2010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13년부터 17개 광역 시·도로 확대 시행됐다. 문화재 훼손을 사전에 방지할 뿐 아니라 이에 필요한 인력을 지역에서 고용해 ‘문화재 예방관리-일자리 창출’ 선순환 구조가 마련됐다. 2018년 현재 7048곳을 관리하고, 광역 시·도별 돌봄수행단체 21개는 상시 인력 676명을 고용하고 있다. 돌봄 활동에는 전문인력 259명이 참여 중이다.

지역문화재활용사업은 2017년 기준 전국 255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생생문화재사업, 향교·서원만들기사업, 문화재 야행, 전통 산사 문화재활용사업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 중이다. 활용 사업이 이루어지는 마을이 직접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된다.

드라마와 케이팝으로 문화예술산업이 국내에서 신성장 동력이 되었듯 국내 문화재계는 여러 사업을 통해 문화재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유구한 역사와 풍부한 문화자원, 잘 발달된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전통문화 한류와 문화재산업의 비상을 기대해 본다.
2018-10-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