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與는 ‘친윤·비윤’ 대립, 野는 충성 경쟁… 이럴 때인가

[사설] 與는 ‘친윤·비윤’ 대립, 野는 충성 경쟁… 이럴 때인가

입력 2024-06-26 00:17
업데이트 2024-06-26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당대표 후보 등록하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당대표 후보 등록하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7·23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등록 신청서를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 모두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당권 레이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민의힘의 7·23 전당대회는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윤상현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등 4자 대결로 치러진다. 8·18 전당대회를 앞둔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표가 그제 대표직을 사퇴하면서 사실상 연임 수순에 착수했다. 22대 국회를 맞아 당 체제를 새롭게 정비하는 행보이건만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 마음은 답답하기만 하다. 여당은 친윤(친윤석열)·비윤(비윤석열) 대립 속에 정책 경쟁이 실종됐고, 야당은 이 전 대표에 대한 충성 경쟁에만 혈안이 돼 있을 뿐이다.

국민의힘에선 한동훈발(發) 채 상병 특검법 발의가 논쟁에 불을 질렀다. 다른 당권 주자들은 “순진한 생각”(나경원), “한동훈 특검법도 받아들여야 하나”(윤상현), “공수처 수사 먼저”(원희룡)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특검법이 쟁점이지만 따지고 보면 어떤 위치에서 윤 대통령과 마주할 것이냐가 대표 선출의 기준이 된 모습이다. 여당 대표와 대통령의 관계가 정국의 주요 변수인 것은 맞지만 이는 여당의 위상과 역할에서 한 부분일 뿐이건만 현실은 온통 대통령과의 관계에만 매몰돼 있다.

민주당의 당권 레이스는 이재명 일극체제를 연장하는 도구로 전락했다. 이 전 대표가 대표직을 사퇴하자 최고위원 도전자들의 충성 맹세가 잇따르고 있다. 강선우 의원은 “‘어대명이 아니라 당대명(당연히 대표는 이재명)”이라 했고, 다른 잠재 후보들도 ‘이재명 엄호’를 부르짖는다. 국회 제1당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지닌 거대 야당의 전당대회 후보들이 충성 경쟁에 눈이 먼 형국이다.

여야 새 지도부의 앞길에 나라와 민생이 보이지 않는다. 이래서야 국민이 무슨 희망을 갖겠나.
2024-06-26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