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AI전쟁 시대, 과감한 원전 확대 필요하다

[사설] AI전쟁 시대, 과감한 원전 확대 필요하다

입력 2024-06-03 00:54
업데이트 2024-06-03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규 원전 건설 담긴 전력수급기본계획
신규 원전 건설 담긴 전력수급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장인 정동욱 중앙대 교수가 지난달 31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제11차 전기본 실무안을 발표하고 있다.
정부가 2038년까지 신규 원전 3기, 소형모듈원전(SMR) 1기 건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을 지난달 31일 공개했다. 정부는 2년 주기로 향후 15년간 적용할 전기본을 수립한다. 11차 전기본이 확정되면 2015년 이후 9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이 이뤄진다.

인공지능(AI)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엄청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6년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량(1050TWh)이 2022년의 두 배, 일본 전체 소비량과 비슷해질 거라고 추정했다. AI에 필수인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각종 반도체 생산설비에도 대규모 전력이 공급돼야 한다. 현재 조성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필요한 전력(10GW)은 서울 전체 전력 사용량과 비슷하다.

탄소 감축 요구는 거세지고 있다. 반도체 첨단 공정에 필수인 극자외선 노광장비를 생산하는 네덜란드의 ASML은 최근 공개된 연간 보고서에서 “2040년까지 고객업체를 포함한 모든 생산·유통 과정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달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주요 공급업체에 2030년까지 100% 무탄소 에너지 사용을 요구하겠다고 했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은 현실적으로 원전뿐이다. 세계 주요국들도 원전 수용으로 방향을 틀었다. 프랑스는 2050년까지 원전 14기, 영국은 9기를 추가 건설하기로 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겪은 일본도 원전 비중 확대로 돌아섰다. 정부는 부지 확보, 주민 설득 등에 적극 나서고 22대 국회는 폐기된 고준위방사성폐기물특별법 처리를 서둘러야 한다. ‘탈원전’ 운운하기엔 AI 발전이 너무나 빠르다.
2024-06-03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