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용 온라인뉴스부장
아마 ‘손목’이 아파서 잔반과 쓰레기를 버리지 못한 것은 아닐 것이다. 음식을 받을 땐 힘이 생기다가 잔반을 버릴 때만 갑자기 힘이 빠지는 것도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진짜 이유는 ‘귀찮아서’일 것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런 행태가 현대화된 군 조직이 등장하고 나서 단 한번도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져 왔다는 것이다. 예비역 육군 병장인 필자도 25년 전 군생활 때 이런 행태를 수도 없이 목격했다.
당시엔 ‘갑질’이라는 생각을 못 했다. 장교를 무조건 떠받들어야 할 ‘상전’으로 여겼다. 아마 지금 이 시각에도 “겨우 식판 하나 치워 주는 것이 무엇이 대수냐”고 항변하는 장교가 있을 것이다.
어느 대기업 식당에서 관리자가 직원에게 식판 정리를 지시했다고 가정해 보자. 더 큰 난리가 났을 것이다. 그런데 군대는 그 오랜 시간을 그냥 보냈다. 사실 불만이 있어도 폭로할 공간이 없었다. 이젠 휴대전화가 무기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익숙한 병사들이 가만히 있지 않는다. 그런데도 인식이 변하지 않는다. 문제가 터지면 움직이기 전에 변명이 많다.
‘군인복무기본법’을 살펴봤다. 아무리 들여다봐도 ‘장교는 병사에게 식사 뒤처리를 맡길 수 있다’는 내용이 없다. ‘군인은 직무를 수행할 때 상관의 직무상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는 문구는 있지만 ‘잔반 처리’가 직무상 명령에 해당한다고 규정하진 않았다. 잔반과 쓰레기를 대신 버리지 않아도 ‘항명’이 아닌 것이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근무하는 미군 누구도 이런 갑질을 하지 않는다. 미군 고위 장교가 잔반 처리를 부하들에게 떠넘겼다는 얘기는 들어 본 적이 없다. 대대적인 보도가 나왔으니 국제 망신까지 당한 셈이다.
파장이 커졌지만, 병사들은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 수십년간 이어져 온 적폐와 갑질이 단번에 사라지겠는가. 인사 정책을 맡는 고위 장교들은 이런 현상에 어떤 생각이 드는가.
군 수뇌부터 실천하는 전면적인 ‘병영문화 개혁’ 없이는 고질적인 적폐에 변화가 없을 것이다. 군은 ‘갑질 퇴출’을 지상 최대 과제로 삼고 좌고우면하지 말고 나가야 한다. 당장 오늘 장성부터 실천하는 건 어떤가. 그럼 영관급, 위관급 장교와 부사관까지 물 흐르듯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까.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지금까지 노력해 왔다”는 말은 꺼내지 말자. 공관병과 테니스병, 골프병을 없애고 병사 복지에 최선을 다했다고 자화자찬했지만, 겨우 식판 하나에 무너진 군 아닌가.
군 문화 개혁이 어렵다면 직설적으로 한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싶다. 그냥 돈을 들이면 된다. 미군처럼 예산을 투입해 식당에 민간 인력을 배치하면 된다. 갈등도 없고 아주 쉬운 방법이다. 다만 한 가지만 더 당부하자. 예산을 들이더라도 손목이 아프지 않은 한 식판 잔반쯤은 본인이 버리는 미덕을 갖추길 바란다.
junghy77@seoul.co.kr
2021-06-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