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여경 문화부장
드골 정부의 치적 중 하나는 문화융성의 기조를 정책으로 안착시킨 것이다. 문화 담당 정책기관을 하나로 묶은 ‘문화부’를 탄생시켰다. ‘인간의 조건’, ‘왕도’ 등으로 유명한 대문호이자 정치인인 앙드레 말로가 초대 장관을 맡아 이후 10년간 드골의 정책 동반자로서 폭넓은 문화예술 정책을 폈다.
말로는 “더 많은 프랑스인이 인간 문명, 프랑스 문명의 창작품들에 접근하고 향유하며, 창작 정신을 높이도록 돕는 것”을 문화부 역할로 봤다. 문화정책에 복지 개념을 도입했고, ‘문화유산보호법’을 제정해 문화재 보존을 위한 법적·재정적 바탕을 깔았다.
말로가 퇴임한 지 10여년이 지나 법학 전공자이자 극예술계에 몸담았던 자크 랑이 문화부 장관이 됐다. 1981~1986년, 1988~1993년 ‘문화 대통령’으로 불린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과 호흡을 맞췄다. 그는 루브르의 피라미드, 국립도서관, 신개선문 등 10대 건축 사업으로 파리에 관광 아이콘을 세웠다. ‘출판물보호법’을 만들어 출판업계를 보호했다. 장관으로 있던 10년간 문화 예산을 26억 프랑에서 138억 프랑으로 5배 이상 늘렸다.
두 장관을 떠올린 건 지난 9일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이젠 장관이 된-의 국회 인사청문회를 보면서다. 이날 여당 의원들은 어떡해서든 그에게 정당성을 주기 위해 노력했다. 이 중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프랑스를 거론했다. “프랑스도 문화부 장관을 문화계 출신이 한 번, 비문화계 출신이 한 번, 번갈아 맡는다. 그래도 흔들림 없는 문화 강국으로 자리한다”고.
틀린 말은 아니다. 랑 이후 현직 로즐린 바슐로까지 역대 문화부 장관 14명 중 문화계에 몸담았던 사람은 8명이다. 다큐멘터리 감독도 있고, 건축가나 출판편집인도 있다. 나머지 비문화계 인사는 국립행정학교(ENA)를 졸업했거나 자치단체장을 역임한 행정 전문가다. 프랑스 내각 구성 방식을 안다면 ‘비문화계 출신’이라고 뭉뚱그릴 게 아니다. 그러니 결국 틀린 말이다. 게다가 프랑스 문화를 아는 문화계 인사들은 한결같이 이렇게 말한다. “프랑스는 문화계 인사를 굳이 문화부 장관으로 앉히지 않아도 돼. 이미 말로와 랑이 다 해 놨거든.”
우리에게 그런 바탕이 있나. 정권이 바뀌면 정책 지우기에 바빠 항상 ‘새 틀 짜기’를 해 온 우리나라와 프랑스는 문화정책 환경을 비교할 수 없다. 여전히 국악, 무용, 연극 등 순수예술계는 소외되고 있다. 화려한 영상 콘텐츠 이면에 복지 기본권은커녕 안전장치 없이 현장에 내몰리는 많은 이한빛·이재학 피디가 있다. 문화계 어려움엔 눈 가린 채 영화 ‘기생충’이나 방탄소년단처럼 이미 세계가 인정한 대중문화에 얹혀 갈 기회만 보는 건 아닌가 싶을 때도 많다. 1년 이상 지속된 코로나19로 문화계는 더욱 아프다.
문화계에 대한 이해나 행정 경험에 대해 의구심이 깊은 새 문체부 장관이 왔다. 크고 작은 논란에도 이변 없이 임명된 이상 황 장관을 언제까지 험악스레 쏘아볼 일이 아니라는 건 안다. 말로나 랑처럼 진득하게 문화융성의 기틀을 닦을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지 않을 거라는 것도 한국 현실에선 자명하다. 그래서 짧게 조언한다. 일단 코로나로 무너진 문화 환경을 회복하는 일에 매진하시라고. 문화예술을 여가쯤으로 볼 게 아니라 우리 삶과 존재의 문제로 인식하고 문화 복지부터 추구하시라고.
cyk@seoul.co.kr
2021-02-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