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한국 3대 정원’ 너머의 것들/손원천 문화부장

[데스크 시각] ‘한국 3대 정원’ 너머의 것들/손원천 문화부장

입력 2019-05-13 17:26
수정 2019-05-14 0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지난달 하순 조선시대 때 조성됐다는 정원 한 곳이 공개됐다. 서울 성북구 북한산 자락에 숨어 있던 성락원(명승 제35호)이 주인공이다. 조선 후기의 전통 정원 양식이 살아 있는 데다 장삼이사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비밀의 정원이었던 까닭에 개방과 동시에 주목을 받았다. 6월 11일까지 50일간의 관람 예약이 진작에 꽉 찼으니 세간의 관심 정도를 가늠할 수 있겠다.

포털사이트에서 ‘한국의 3대 전통 정원’이라는 ‘연관 검색어’도 생겼다. 사실 좀더 정확히는 한국의 3대 전통 ‘민간’ 정원이라고 해야 맞다. 조선의 임금 정조가 ‘지혜의 샘’이라 불렀다던, 저 유명한 창덕궁 후원 등 여러 궁궐과 공공 건물의 정원들과 견줄 수는 없을 테니 말이다. 어쨌든 연관 검색어에 이어 ‘지식인’에까지 관련 내용이 등장하면서 성락원은 이제 전남 담양 소쇄원, 완도 보길도 부용동과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정원의 자리를 단단히 꿰차게 됐다.

누가, 어떤 근거로 ‘한국의 3대 전통 정원’을 정했는지를 따질 생각은 없다. 외려 그만한 가치를 충분히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다만 이 같은 서열화, 혹은 차별화가 미구에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 걱정되는 것도 사실이다.

3년 전 들렀던 전남 강진의 백운동 원림(園林)에 대한 기억이 여태 선연하다. 월출산 차밭 아래 숨어 있는 호남 선비의 멋들어진 별서 정원이다. 애초 백운동 원림(명승 제115호)을 조성한 이는 강진의 처사 이담로(1627~?)였지만 세상에 알린 이는 다산 정약용이다. 강진에 유배됐던 다산은 1812년 월출산 산행에 나섰다가 하산길에 백운동 계곡을 지나게 된다. 매화와 동백숲 등에 눈길을 뺏긴 다산은 계곡 한가운데 터를 잡은 집에서 하룻밤을 묵어 간다. 여기가 백운동 원림이다. 다산은 백운동 안팎의 풍경을 ‘백운동 12경’이라 이름 짓고 이를 ‘백운첩’이란 서화집으로 남겼다. 현 백운동 원림은 백운첩을 근간으로 복원한 것이다. 원림의 뜰에는 시냇물을 끌어들여 마당을 돌아 나가게 만든 ‘유상곡수’ 유구, 화계(花階ㆍ꽃계단) 등이 남아 있다.

강진 나들이에서 아쉬움이 진하게 남았던 곳도 있다. 다산의 제자 황상이 살았던 ‘일속산방’(一粟山房)이다. 좁쌀 크기의 단칸 초옥이지만 웅지만큼은 불가에 전하는 ‘수미산을 담은 겨자씨’처럼 크고 넓다는 은근한 자부심이 담긴 집이다. 강진군에서 명소로 가꾸기 위해 ‘일속산방길’을 닦는 등 공을 들였지만, 흔적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이유야 간단하다. 사람들이 발걸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라 안의 옛집 정원들 가운데 철학이 깃들지 않은 곳은 없다. 그 철학적 사유의 깊이를 외양이나 규모로 가늠할 수는 없다. 이를 서열화한다는 것은 더더욱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성락원 이전에 ‘한국 3대 정원’의 하나였던 경북 영양의 서석지, 비교적 최근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백운동 원림에 대한 평가는 앞으로 어떻게 바뀌게 될까. 담양의 명옥헌, 봉화 청암정 등 수많은 크고 작은 누정들은 몇 위에 턱걸이를 하게 될까. 이런 서열화가 국민들의 관심을 촉발시키는 선순환의 마중물이 됐으면 좋으련만 아쉽게도 순위 밖의 것들에 대해서는 눈길을 주지 않는 게 세간의 인심이다.

관광산업은 관심을 먹고 자란다.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는 곳이 명소가 되고, 살뜰한 보살핌도 받는 법이다. 이미 ‘한국 3대 정원’에 대한 평가는 널리 퍼져 있다. 기왕 여기까지 왔다면 이를 호명되지 못한 다른 옛 정원들이 재조명되는 계기로 삼았으면 좋겠다. 그도 아니라면 최소한 시선에서 벗어난 곳들에 대한 돌보기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거나.

angler@seoul.co.kr
2019-05-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