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석 온라인뉴스부장
드라마에 등장하는 병원에서는 라이벌 의사를 ‘지잡대’(지방대를 비하하는 말)라고 몰아세우며 승진을 위해 학벌과 학연, 지연을 내세는 모습도 그려지고 있다.
SKY캐슬이 인기를 끈 이유는 드라마의 내용이 현실과 너무나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명문대 진학이 곧 사회적 성공이라는 인식이 대한민국 1%의 상류층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에 악령처럼 떠돌고 있는 것이다.
꼭짓점에는 학벌 위주 사회가 존재하고 있다. 소위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로 불리는 대학을 나와야 드라마에서 말하는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다. 그래서 SKY 진학을 위해 특목고와 자사고 진학에 매달리고, 초·중학교 때부터 학원을 전전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에는 학벌 위주의 사회가 아이들을 어린 시절부터 사교육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아이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학부모와 이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해 돈을 버는 학원들만을 탓할 일은 아니다. 최근 기업 경영성과 평가 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의 현직 CEO(내정자 포함) 출신 대학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SKY 출신’이 전체의 40.4%를 차지했다. 2015년 47.6%보다 7.2% 포인트 낮아진 것이라고는 하지만 전국적으로 200개에 가까운 4년제 대학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독보적이다.
정부 최고위직도 마찬가지다. 역대 정부마다 ‘능력 중심 사회’를 외치며 교육·입시 정책을 수시로 바꾸고 있지만, 정부 각 분야 최고위직에서 고졸이나 비(非)수도권 대학 출신은 찾아보기 힘들다. 한 언론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금까지 내각과 주요 위원회, 권력기관, 청와대의 차관급 이상 출신 대학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4.4%가 SKY 출신이고, 소위 ‘인 서울’(서울 소재 대학) 출신이 82.7%에 달했다.
최근 들어 기업들 사이에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다. 출신 학교와 지역, 가족관계 등 차별적 요소를 가리고 직무 능력만으로 채용하는 제도다. 기업 중에는 KT와 CJ, SK그룹의 일부 계열사들이 서류와 면접 단계 등에서 블라인드 전형으로 선발하고,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두산중공업 등이 일부 직무에서 블라인드 채용을 하고 있다. 직무 전문성 채용이 강화되면서 인공지능(AI)이 서류를 걸러 내는 시스템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갈 길이 멀다. 좋은 대학을 보내지 못하면 경쟁에서 뒤떨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을 확실히 잠재우기 전까지는 SKY캐슬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선의의 경쟁은 필요하지만 불법·고액 과외를 부르는 불필요한 경쟁은 아이들만 멍들게 할 뿐이다. 취업을 위해서는 ‘스펙’(학력·학점·토익 점수 등)보다는 직무 역량이, 학력보다는 실력이 우선된다는 메시지를 사회에 더 명확히 던져야 한다.
아직도 상당수의 기업에서 신입사원 지원 자격을 대졸 출신으로 제한하고, 스펙 위주의 서류전형과 면접을 통해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있다. 또 고졸 출신을 채용하더라도 대졸 출신의 임금과 직급에 과도한 차이를 두는 곳도 적지 않다.
우리 사회가 해야 할 일들이 많지만 기업들이 더 적극적으로 채용 방식의 다변화를 통해 ‘학벌 타파’에 나선다면 조금이나마 SKY캐슬의 병폐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hyun68@seoul.co.kr
2019-02-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