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시대에 육교가 웬말인가요.”
서울 종로구 신영동과 평창동 인근 보행자 육교 두 곳이 새것으로 교체돼 조만간 개통된다. 신영동 세검정초등학교 정문 앞에 있는 세검 보도 육교와 여기서 동북쪽으로 약 500m 거리에 있는 평창동 서울예술고등학교 앞 육교가 주인공이다. 서울 종로구는 지은 지 40년 가까이 되는 두 육교가 안전등급에서 즉시 보강이 필요한 D등급 판정을 받자 이를 뜯어내고 현대식 새 육교로 바꾸고 있다.
육교는 속도를 중시한 산업화 시대의 산물이란 점에서 인간 중심의 보행 도시를 표방하는 요즘 횡단보도 대신 육교를 유지한다는 게 이상해 보일 수 있다. 보행자 중심의 환경을 만든다는 명목하에 노량진 육교, 남대문 육교 등 유서 깊은 육교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게 대세이기 때문이다. 2000년 248개였던 서울 시내 육교는 지난해 말 기준 159개로 줄었다.
그러나 모든 시민이 육교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종로구도 2016년부터 두 육교가 북한산 전경을 가로막고 오르내리기 불편하다는 민원이 제기돼 철거를 고민한 적이 있지만 찬반 논란 끝에 포기했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2012년 옥인아파트를 철거하고 인왕산 자락의 수성동 계곡을 겸재 정선의 그림(장동팔경첩 중 수성동 회화)처럼 복원했을 만큼 문화와 경관이 있는 아름다운 도시를 추구하고 있지만 세검 육교과 평창 육교만은 없애지 못했다.
육교를 없애려면 우선 주민 의견부터 수렴해야 한다. 철거 여론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경찰의 교통 심의를 거쳐 서울시에서 비용을 지원받아 없앤다. 종로구도 이 절차를 밟았다. 지난해 9월 육교를 없애 달라는 일부 주민 요구를 반영해 주민공청회를 열었지만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육교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압도적이었다.
인근 차도에 스쿨존을 명시하고 감시카메라 등을 달아 안전 운전을 유도하는 방법도 가능하겠지만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시기상조라는 답이 나온다. 스쿨존은 어린이 보호를 위해 설정한 학교 주변 반경 300m 이내 지역을 말하는데 지난 10년간(2008~2017년) 발생한 전국 스쿨존 내 12세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는 5497건에 달한다. 작년 말 기준 전국 스쿨존 1만 6555곳 가운데 단속 장비가 설치된 곳은 2%(338곳) 수준에 불과하다. 스쿨존 설정이 능사가 아니란 얘기다.
더욱이 세검정 보도 육교 인근 한 가로수는 수차례 차에 들이받혀 파인 흔적이 역력할 만큼 두 육교가 있는 세검정로와 평창문화로 구간은 경사와 곡선이 심해 운전자 시야 확보가 어렵다. 종로구가 관내 육교를 2000년 17개에서 올해 현재 3개까지 줄여 왔는데 남은 3개 모두 이 구간에 몰려 있을 정도다. 공청회 직후 열린 서울지방경찰청의 교통안전시설 심의에서 두 육교를 없애면 안 된다고 결론 낸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육교 폐지 요구가 아이들의 안전은 도외시한 지역 이기주의란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도시의 기본 조건은 안전이다. 안전을 희생하면서 경관과 편리를 추구할 수 없다.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 시내 육교가 대거 줄었지만 같은 기간 강남구(7→10개), 서초구(13→17개)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늘린 곳도 있다. 양천구는 지난해 금옥여고 육교 철거를 주장하는 여론이 주민 찬반투표 결과 60%를 넘었지만 육교를 유지했다. 세검 육교와 평창 육교도 마찬가지다. 도로 환경, 안전 설비, 운전자 의식 등 조건이 성숙해 보행 안전이 보장될 때 육교 철거를 고려해도 늦지 않다.
jhj@seoul.co.kr
주현진 사회2부 차장
육교는 속도를 중시한 산업화 시대의 산물이란 점에서 인간 중심의 보행 도시를 표방하는 요즘 횡단보도 대신 육교를 유지한다는 게 이상해 보일 수 있다. 보행자 중심의 환경을 만든다는 명목하에 노량진 육교, 남대문 육교 등 유서 깊은 육교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게 대세이기 때문이다. 2000년 248개였던 서울 시내 육교는 지난해 말 기준 159개로 줄었다.
그러나 모든 시민이 육교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종로구도 2016년부터 두 육교가 북한산 전경을 가로막고 오르내리기 불편하다는 민원이 제기돼 철거를 고민한 적이 있지만 찬반 논란 끝에 포기했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2012년 옥인아파트를 철거하고 인왕산 자락의 수성동 계곡을 겸재 정선의 그림(장동팔경첩 중 수성동 회화)처럼 복원했을 만큼 문화와 경관이 있는 아름다운 도시를 추구하고 있지만 세검 육교과 평창 육교만은 없애지 못했다.
육교를 없애려면 우선 주민 의견부터 수렴해야 한다. 철거 여론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경찰의 교통 심의를 거쳐 서울시에서 비용을 지원받아 없앤다. 종로구도 이 절차를 밟았다. 지난해 9월 육교를 없애 달라는 일부 주민 요구를 반영해 주민공청회를 열었지만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육교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압도적이었다.
인근 차도에 스쿨존을 명시하고 감시카메라 등을 달아 안전 운전을 유도하는 방법도 가능하겠지만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시기상조라는 답이 나온다. 스쿨존은 어린이 보호를 위해 설정한 학교 주변 반경 300m 이내 지역을 말하는데 지난 10년간(2008~2017년) 발생한 전국 스쿨존 내 12세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는 5497건에 달한다. 작년 말 기준 전국 스쿨존 1만 6555곳 가운데 단속 장비가 설치된 곳은 2%(338곳) 수준에 불과하다. 스쿨존 설정이 능사가 아니란 얘기다.
더욱이 세검정 보도 육교 인근 한 가로수는 수차례 차에 들이받혀 파인 흔적이 역력할 만큼 두 육교가 있는 세검정로와 평창문화로 구간은 경사와 곡선이 심해 운전자 시야 확보가 어렵다. 종로구가 관내 육교를 2000년 17개에서 올해 현재 3개까지 줄여 왔는데 남은 3개 모두 이 구간에 몰려 있을 정도다. 공청회 직후 열린 서울지방경찰청의 교통안전시설 심의에서 두 육교를 없애면 안 된다고 결론 낸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육교 폐지 요구가 아이들의 안전은 도외시한 지역 이기주의란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도시의 기본 조건은 안전이다. 안전을 희생하면서 경관과 편리를 추구할 수 없다.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 시내 육교가 대거 줄었지만 같은 기간 강남구(7→10개), 서초구(13→17개)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늘린 곳도 있다. 양천구는 지난해 금옥여고 육교 철거를 주장하는 여론이 주민 찬반투표 결과 60%를 넘었지만 육교를 유지했다. 세검 육교와 평창 육교도 마찬가지다. 도로 환경, 안전 설비, 운전자 의식 등 조건이 성숙해 보행 안전이 보장될 때 육교 철거를 고려해도 늦지 않다.
jhj@seoul.co.kr
2018-03-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