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소영 논설위원
며칠 전 모임에서는 심하게 훼손된 도서를 폐기하는 안건이 올라왔다. 도서관마다 두세 줄로 책을 쌓아 놓을 정도로 서고가 슈퍼 과포화 상태이고, 훼손된 책도 많은데 그간 도서관들은 책을 폐기하지 않았다고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침에는 한 해에 최대 7%의 책을 폐기할 수 있었는데도 말이다. 그 이유는 문체부가 공공도서관의 목표로 ‘시민 1인당 장서수’를 주요한 지표로 삼는 탓에 감히 폐기를 생각하지 못했다. 매년 쥐꼬리만 한 책 구입비가 내려오는데 시민 1인당 보유 권수를 늘리려면 낡은 책도 기증을 받고, 폐기해야 할 책이라도 끌어안고 있어야 도서관 장서 숫자를 늘릴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공공도서관의 사정을 모르는 도서관 이용객들은 너무 낡고 더러운 책을 빌릴 수밖에 없고, ‘이따위로 책을 보관하고 빌려주다니’ 하고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들에게 분노를 터뜨렸을지도 모른다. 최근 이 지표의 중요성이 줄었다고 했다. 최근 주요한 지표는 행정자치부가 정부합동평가에서 내세운 공공도서관의 ‘시민 1인당 장서 구입액’ 등이다.
이렇게 정부가 정책의 작은 부분을 변화시키자 기초정부의 공공도서관에서는 과감하게 낡은 책을 폐기할 수 있게 됐다. ‘시민 1인당 장서 구입액’으로 정책이 전환하면 침체하는 출판 산업에도 도움이 된다. 최근 기초정부 등에서 동네 서점을 살리고자 공공도서관에 책의 납품을 허용했는데, 이런 기조와도 통한다. 의정부시가 시작해 고양시가 벤치마킹한 사례도 신선하다.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면 마일리지를 주고, 그 마일리지로 동네 서점에서 책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이 역시 공공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고, 동네 서점을 살리는 작은 정책의 변화다.
한 사람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는 혁명과 같은 극단적 환경 변화이겠으나, 생활의 작은 변화들이 누적되면서 좋은 환경을 찾아가는 상태를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더불어 폐기될 책의 운명이 궁금했다. 미국의 공공도서관들은 보유했던 책을 처리할 때 지역사회로 돌려주기도 한다. 책의 상태에 따라 1달러나 5달러, 아무리 비싼 양장본 책도 10달러 안팎으로 사들일 수 있었기에 국내에서도 그러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우리 공공도서관에서는 폐기할 책이 시민의 자산을 처분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각만 할 수 있다고 했다. 물품관리 조례가 있기 때문이란다. 언젠가는 그 조례도 시민에게 더 우호적인 방향으로 개선되기를 바란다.
또 한 가지 더 바뀌었으면 하는 규정이 있다. 몇 년 전 공공도서관에 어린이 그림책을 기증하려고 하니, 출판 5년 이내의 책이어야 한다는 규정 탓에 거부당했다. 새 책이나 다름없었는데, 상태도 보지 않고, 출판 연도만 따져서 기증 여부를 평가하는 태도에 섭섭했다. 어린이 그림책은 잘 훼손되는 만큼 기증을 받아 잘 돌려 쓰고, 훼손되면 바로 폐기하는 방향이 더 낫지 않을까 한다.
symun@seoul.co.kr
2017-11-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