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운 논설위원
이 모임의 유력한 학자 25명의 이름으로 2010년 ‘과학과 종교는 적인가, 동지인가’라는 한국어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과학사에서 잘못된 25가지 통념(myth)들에 관해’ 의학사, 철학, 과학사, 역사학 등 전공이 다른 25명의 교수가 각각 분야별로 집필하고 이를 엮은 것이다.
‘통념’에 대한 반론이다 보니 주제 하나하나가 눈길을 끌다 못해 도발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이런 식이다. ‘기독교의 융성이 고대과학의 쇠퇴를 가져왔다?’ ‘중세 기독교인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가르쳤다?’ ‘갈릴레이는 지동설을 펴다 옥고를 치르고 고문까지 받았다?’ ‘다윈의 진화론이 자연신학을 파괴했다?’
이런 통념에 반박하는 “25명의 기고자 가운데 12명은 종교적으로 불가지론자이거나 무신론자다. 13명은 개신교, 가톨릭, 무슬림, 불교 등 종교가 있었으며, 이 중 2명은 범신론자”라고 책은 밝히고 있다. 책의 내용이 집필자의 종교와 무관하게 저마다의 과학사적 지식에 기반해 씌어졌음을 강조한 것이다.
당시 연맹회장으로 책을 기획하고 엮은 로널드 L 넘버스 위스콘신매디슨대학의 과학사 및 의학사 전담 교수는 “기독교 가정에 자라났지만 훗날 무신론자가 됐다”고 굳이 밝히면서 ‘역사 바로 세우기를 중시하는 이유를 알려 줄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
유력한 과학자들답게 글들은 상당히 ‘과학적’이다. 통념을 반박하는 이들의 글을 반박할 아무런 지적 능력을 갖지 못함을 확인하면서 ‘상식, 통념이란 게 사실과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생각을 새삼 되새겼다.
책 말미에 눈에 띄는 대목은 신에 대한 미국 과학자들의 인식 조사였다. 1차 세계대전 직전 제임스 류바라는 심리학자가 미국 과학자 1000명을 대상으로 ‘기도에 응답하는 인격화된 신’을 믿는지 조사했다. 41.8%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류바는 과학이 발달하면 이 비율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1998년 네이처지가 이와 비슷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을 때 그 비율은 39.3%였다. 7년 전 신간 코너에서 우연히 집어 들고 읽었던 책을 최근 상당한 수고 끝에 다시 찾은 것은 무엇보다 이 수치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과할 것인지 별 관심은 없다. 다만 과학계 일부가 반발하는 내용을 들여다보며 ‘통념’을 다시 생각하게 됐다. 요약컨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으로 창조론자가 웬말이냐’는 것인데, 일반인이라면 몰라도 과학자의 주장이라면 어색하다. ‘이런 과학계 인사들은 논문을 인용할 때 우주의 기원에 대한 피인용자의 인식까지 파악하고 나서야 인용하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앞선 조사 수치가 종교와 과학(자) 간의 상관 관계를 얼마나 과학적으로 보여 주는지는 모르겠다. 마침 책의 서문은 ‘과학과 종교의 역사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는 통념은 과학과 종교가 끊임없이 대립하는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통념을 재반박하는 ‘(과)학자의 글’이 나온다면 역시 깊은 관심을 갖고 읽어 볼 용의가 있다.
jj@seoul.co.kr
2017-09-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