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소영 논설위원
김용만 우리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은 최근에 펴낸 ‘조선이 가지 않은 길’ 79쪽에 이렇게 써 놓았다. “이성계가 경복궁을 정궁으로 지을 때 광화문 앞으로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의 도시 구조를 의식해 9궤(軌) 도로를 만들었다. 9궤 도로란 천자가 타는 9대의 수레가 다닐 수 있는 길이다. 고려 수도 개경은 황제국의 수도로 건설된 황도(皇都)였기 때문이다.” 김 소장의 이 글을 읽으면 ‘조선은 명나라의 제후국 아니었나? 황제국이었던 것인가?’ 하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의문은 그다음 문장에서 풀린다. “태종 이방원은 그가 머문 창덕궁 (돈화문) 앞으로 7궤 도로를 만들었다. 이는 제후가 타는 7대의 수레가 다닐 수 있는 길이다. 태평로와 돈화문로의 도로폭의 차이는 이때부터 생겨난 것이다.”
고려의 장군으로 역성혁명을 일으킨 이성계는 수도를 조성할 때 아직 ‘고려 백성’인 조선의 백성에게 조선이 고려보다 못한 나라가 아니라는 사실을 9궤 도로로 보이고 싶었다고 해석할 수도 있겠다. 반면 다섯째 아들로 형제들을 죽이는 ‘왕자의 난’ 등을 거쳐 왕에 오른 이방원은 명나라가 ‘정도전을 내놓아라’라고 하자 주저 없이 내놓을 만큼 명의 눈치를 보았다. 또 7궤 도로를 닦아 ‘제후국 조선’을 확실하게 약속했다. 그 뒤의 전개는 다들 아는 바와 같다. 조선은 명나라가 망할 때까지 황제의 나라가 아닌 제후국의 길을 갔고, 병자호란 등으로 인조가 삼전도의 굴욕을 겪은 청나라 이후에는 나라의 위상이 형편없어졌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황제국을 칭한 나라는 고려 외에도 고구려와 발해가 있었다. 황제국을 칭하던 시절에는 대체로 부국강병을 했다. 사실 고려의 9궤 도로는 고구려를 본뜬 것이다.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발해 역시 9궤 도로를 놓았다. 9궤 도로이거나 7궤 도로이거나 도로는 도로일 뿐 뭐가 그리 중하냐고 반박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고대국의 건물과 도시는 강한 상징성을 부여한다. 중국 황제들은 제후국에 자신의 위용을 자랑하는 과시용 황궁을 지어 제후국 사신들의 기를 죽였다. 이런 상징성은 용의 발톱을 황제를 상징할 때는 5개, 제후를 상징할 때는 3개 하는 식에도 적용된다.
조선은 제후국인 만큼 ‘황제는 하늘이 점지한 신성한 피로 귀족이나 백성과 다르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치르는 제천행사도 하지 않았다. 고구려나 부여에서 제천행사는 당연했다. 고려는 ‘친명정책’을 펴던 1385년 하늘에 지내는 제사는 천자(天子)만 한다며 제천의례를 폐지했다. 그 제천행사를 500여년 뒤에 고종이 복원했다. 고종은 1897년 대한제국 황제가 돼 원구단을 조성하고 제천행사를 했다. 그러나 황제 등극이나 제천행사가 무의미한 시절이었다. 그 원구단을 1913년 일제가 철도호텔을 지어 훼손했다.
사드 배치로 한국은 G2인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곤란을 겪고 있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터진다며 갈등을 대충 봉합하며 피해 갈 것인지, 아니면 할 말은 하면서 두 강대국 사이에서 갈등을 조절해 나갈 것인지 선택해야 할 것이다.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는 문재인 정부가 시원하게 뚫린 세종대로를 보면서 ‘9궤 도로’의 상징성을 고려하면 좋겠다.
symun@seoul.co.kr
2017-06-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