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구 편집국 부국장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어느 정도 광풍이 잦아들자 정부는 소관 공무원들이 감염병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징계 인사를 단행했다. 윗선과 여론을 의식한 다분히 정치적인 처사였다는 게 공직 내부의 기류다. 밤낮으로 메르스와 사투를 벌이던 현장 공무원들이 여럿 상처를 입었다. 전문성과 열정을 갖고 맡은 바 임무에 헌신했던 이들이다. 반면 감염병 대응 시스템을 제대로 정비하지 않은 국가 스스로의 의무와 부작위는 고스란히 묻혔다. 틈만 나면 적극행정을 주문하지만 공직 현장이 느끼는 괴리감은 클 수밖에 없다. 질병과의 사투에 녹초가 되고 정부의 앞뒤 없는 징계에 고통이 가중되는, 이중의 트라우마다. 세월호 참사 당시 팽목항에서 희생자들의 신원을 가장 먼저 확인하던 일선 공무원들은 지금도 악몽에 시달린다고 한다. 시간이 흘러도 치유되기 어려운 심해(深海) 같은 상흔이다.
돌아보면 이런저런 어려움 속에서도 때로는 미세하고 잔잔해 보일지 몰라도 현장과 이웃에 먼저 다가가 손길을 내미는 공무원들도 많다. 누구는 자비로 음식을 마련해 힘든 어르신이나 결손가정 아이들을 찾기도 하고, 누구는 발품을 팔아 가며 어려운 이웃에게 민관의 지원 서비스를 연결해 주기도 한다.
지진이나 태풍, 물난리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름 없는 일선 공무원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인명을 구하려다 때로는 소중한 생명을 잃고 때로는 복구를 돕느라 밤을 지새우며 땀방울을 쏟는다. 붕괴나 화재 같은 대형 참사 현장에서도 소방·경찰 공무원과 구조대원, 주민센터 근무자까지 최일선을 지키는 것은 언제나 현장의 말단 공무원들이다.
재난이 쳇바퀴처럼 반복된다. 거의 일상이 되다시피 했다. 정부 시스템의 미비와 관(官)의 부정부패, 안이하고 불합리한 정책 판단에 따른 피해는 오롯이 시민의 몫으로 돌아온다. 자연 재난이든 사회적 재난이든 이에 맞서기 위해 공동체에 필요한 건 익명의 시민들 그리고 그들과 함께하는 일선 공무원들의 한결같은 헌신이라 할 수 있다. 고관대작이야 전시용 사진 찍고 재난 현장을 한 번 둘러보면 그만이다. 그래선 현장에 낙담과 좌절밖에 남을 게 없다. 일선 공무원들이 공직사회의 오랜 폐쇄성과 권위주의를 떨쳐 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성과 만능과 무원칙한 탈규제, 효율과 실적 중심의 한국적 토양은 여전히 공직사회를 강고하게 옭아매고 있다.
그럼에도 잃지 말아야 할 것은 부조리한 상황에서도 ‘일상의 헌신’에 소홀하지 않는 공직자로서의 일관된 자세라 할 수 있다. 공직사회의 불통과 관료주의에 부딪히고 절망하더라도 시민과 공동체의 생명과 영속성을 지탱해 나가는, 힘겹지만 의미 있는 과업을 마다하지 말아야 한다.
현장의 소리 없는 헌신이 이어지는 한 그래도 우리 공동체에는 실낱같지만 미래를 얘기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을 테다. 그렇지 않다면 숱한 미담과 희생에도 불구하고 공동체의 연대든 희망이든 한낱 미망(迷妄)일 뿐이다.
ckpark@seoul.co.kr
2016-10-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