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민간 자본으로 경영하는 대기업이 등장한 것은 청(淸)나라(1636~1912) 말기의 일이다. 외침과 내란 속에서 서양의 기술을 도입해 부국강병을 이루자는 취지로 기득권 세력이 추진한 양무운동(洋務運動·1861~1895년)의 일환으로 탄생했다. 완전한 민간 회사는 아니었다. 정부의 감독과 지원 아래 민간인들이 자본을 모아 경영하는 일명 ‘관독상판’(官督商辦) 기업들이다. 관독상판 기업들은 열강의 침탈로 국고가 바닥나고 서양 문물을 배척하는 보수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해운, 군수, 철도 등 기간산업을 발전시키고 근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일대 혁신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혁신이 화두인 국내에서도 저성장 기조 탈피, 청년 실업 해결, 지역균형 발전 등을 목표로 하는 ‘관독상판’식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민간 창업을 활성화하고 중소·중견 기업의 발전 도모를 핵심으로 하는 정부의 ‘창조경제’ 사업에 대기업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삼성·현대차·SK·LG·롯데·현대중공업·GS·한진·한화·효성 등 주요 대기업들은 지난 7월 말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설립된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창조센터)를 각각 1~2개씩 전담하고 있다. 정부가 주도하는 민간 창업 및 중소·중견 기업 경쟁력 강화 사업에 대기업이 자금과 기술을 지원하는 것이다.
삼성은 대구창조센터에서 연구개발, 투자 등을 제공하는 식으로 신생 벤처의 아이디어가 사업으로 연결되도록 돕는다. 경북창조센터에서는 중소기업들이 운영하는 공장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스마트팩토리 제조혁신 사업을 펴고 있다. 삼성이 이들 사업에 투자한 돈은 9월 현재 1000억원이 넘는다.
SK는 벌써부터 성과가 나오고 있다며 고무돼 있다. 지난해 10월 SK가 지원하는 대전창조센터에서 벤처기업 10개를 선발해 사업을 도운 결과 매출이 3억 2000만원에서 19억 6500만원으로 6배 이상 껑충 뛰었다.
창조센터가 역대 정권의 역점 사업처럼 한때 반짝하다가 사라질 것이라며 미리 우려의 시선을 보낼 필요는 없다. 아이디어에 목마른 대기업은 벤처와의 협력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발굴할 수 있다. 창조센터를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는 풍토가 만들어지고 일자리가 창출되면 부의 쏠림을 완화해 줄 경제민주화도 실현할 수 있다. 정부는 2017년까지 창조센터를 통해 2500개 창업기업을 보육하고 2500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청나라 양무운동 당시 생겨난 관독상판 기업들은 중국의 근대화를 이끌었지만 망국 수준의 부패 문제가 심각했다고 한다. 정권과 체제는 그대로 두고 서방의 기술 도입에만 초점을 맞춘 양무운동은 기득권이 추진하는 개혁은 성공할 수 없음을 입증한 뒤 정치·사회제도까지 바꾸자는 변법자강운동에 자리를 내줘야 했다. 이와 달리 우리 경제를 성장시킨 대기업들이 참여하는 창조경제 사업은 더욱 커지고 있는 ‘재벌개혁’ 여론을 불식시키는 전기가 될 수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오너의 경영권 승계 절차와 광복절 특별사면 조치 이후 창조센터를 공개 행보의 첫 무대로 삼아 사회책임 이행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대기업들은 이 정권이 끝나는 2년 뒤에도 창조경제를 위해 열심히 뛰어야 할 것이다.
주현진 산업부 차장
삼성은 대구창조센터에서 연구개발, 투자 등을 제공하는 식으로 신생 벤처의 아이디어가 사업으로 연결되도록 돕는다. 경북창조센터에서는 중소기업들이 운영하는 공장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스마트팩토리 제조혁신 사업을 펴고 있다. 삼성이 이들 사업에 투자한 돈은 9월 현재 1000억원이 넘는다.
SK는 벌써부터 성과가 나오고 있다며 고무돼 있다. 지난해 10월 SK가 지원하는 대전창조센터에서 벤처기업 10개를 선발해 사업을 도운 결과 매출이 3억 2000만원에서 19억 6500만원으로 6배 이상 껑충 뛰었다.
창조센터가 역대 정권의 역점 사업처럼 한때 반짝하다가 사라질 것이라며 미리 우려의 시선을 보낼 필요는 없다. 아이디어에 목마른 대기업은 벤처와의 협력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발굴할 수 있다. 창조센터를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는 풍토가 만들어지고 일자리가 창출되면 부의 쏠림을 완화해 줄 경제민주화도 실현할 수 있다. 정부는 2017년까지 창조센터를 통해 2500개 창업기업을 보육하고 2500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청나라 양무운동 당시 생겨난 관독상판 기업들은 중국의 근대화를 이끌었지만 망국 수준의 부패 문제가 심각했다고 한다. 정권과 체제는 그대로 두고 서방의 기술 도입에만 초점을 맞춘 양무운동은 기득권이 추진하는 개혁은 성공할 수 없음을 입증한 뒤 정치·사회제도까지 바꾸자는 변법자강운동에 자리를 내줘야 했다. 이와 달리 우리 경제를 성장시킨 대기업들이 참여하는 창조경제 사업은 더욱 커지고 있는 ‘재벌개혁’ 여론을 불식시키는 전기가 될 수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오너의 경영권 승계 절차와 광복절 특별사면 조치 이후 창조센터를 공개 행보의 첫 무대로 삼아 사회책임 이행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대기업들은 이 정권이 끝나는 2년 뒤에도 창조경제를 위해 열심히 뛰어야 할 것이다.
2015-09-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