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선생님, 편지 잘 받았습니다. ‘태극기 게양, 애국심을 강요할 순 없다’는 글을 나무랐지요. 정부가 펼친 태극기 달기 캠페인과 맞닿았습니다. 먼저 서울신문에 주신 눈길엔 고맙습니다. 그러나 잘못 이해하는데 마냥 지나쳐선 곤란하기에 이렇게 답장을 보냅니다. 선생님께선 제게 “애국심에 무관심한 듯해 걱정”이라고 첫머리에 적었습니다. “애국심은 가져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그만인가”라고 덧붙였습니다. 칼럼 요지는 ‘마음으로 우러나야 애국심’이란 것이었습니다. 인도 격언에 ‘잠든 사람을 깨울 순 있어도, 잠든 척하는 사람을 깨울 순 없다’고 했지요. 태극기를 흔든다고 애국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현실과 어긋나 짜증을 부르는 국기법이라면 정부가 불신을 받을 테고, 태극기 달기 운동의 취지와는 달리 자칫 기피 현상을 키울 것이란 우려를 담았습니다. ‘얼, 말, 글’이라고 합니다. 셋 중 글은 맨 나중이지만 설익은 제 표현력 탓으로 돌립니다.
다음달 15일이면 광복 70돌입니다. 즈음하여 독도 문제로 또 얼마나 일본(우리로선 전향적인 자세를 희망하지만)에선 비바람이 몰아칠 터입니까. 이제껏 그랬듯이 말입니다. 독도 가까운 바다엔 사나흘에 한 번씩 일본 순시선이 나타난답니다. 해마다 100차례 안팎으로 출현하는 것입니다. 2003년 34회, 2004년 50회였다가 2009년 이후 크게 늘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벌써 57차례나 됩니다. 보통 4~5시간씩 머물곤 합니다. 그러면 우리 해경은 함정을 보내 주시하게 됩니다. 두 나라 관계가 참 껄끄러울 땐 언제 맞부딪칠지 모를 일입니다. 머잖은 과거가 팽팽한 위기감을 잘 말합니다. 2006년 7월 국립해양조사원 소속 ‘해양2000호’가 동해안 해류 조사를 벌이던 중 일본 순시선이 무선통신·확성기로 활동 중지를 요구해 무력충돌 직전까지 치닫기도 했습니다.
독도가 우리에게 어떤 땅입니까.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 넓이 18만 7453㎡(5만 6703평). 6세기 이래 우산도(于山島)로 불리다 1883년 울릉도 개척령에 따라 이주한 전라도 주민들이 돌을 사투리로 발음해 ‘독섬’이라고 불렀답니다. 1900년 대한제국 칙령에서 석도(石島)라고 썼지요. 주민들은 다시 ‘독도’라고 했고 1906년 울릉군수의 중앙정부 보고서에서 독도(獨島)라고 기록했다죠. 어엿하게 홀로 섰다는 메시지일까요. 그러나 이미 문제가 터진 뒤였지 뭡니까. 1905년 11월 일본은 을사늑약으로 맨 먼저 독도부터 빼앗고 말았지요. 임자도 없는 땅이라며 시마네(島根) 현보에 고시해 영토로 편입했습니다. 다른 나라에 알려질까 두려워서 짜낸, 한반도 침탈 야욕을 숨기려는 잔꾀였습니다.
이곳 정부서울청사 1층엔 ‘독도는 지금’이란 실시간 모니터 화면이 1년 365일 손님을 반깁니다. 이제 우리나라에 닥칠 태풍이 말썽입니다. 그곳도 걱정이겠죠. 경북 울릉군 독도리로 마음부터 달려갑니다. 2015년 7월 20일 오후 1시 27분 우리네 독도는 하얀 구름을 너울처럼 썼군요. 곧 비가 내린답니다.
이제 독도 문제에서 의연했으면 좋겠습니다. 태극기 게양 문제처럼. 국정 최고책임자가 이미지 메이킹 욕심인지 깜짝 방문해 하릴없이 일본을 자극할 게 아니라고, 우리가 멀쩡한 우리 땅 독도를 놓고 도발한 것처럼 국제적 이슈로 악용될 따름이라고 더러 고개를 내젓습니다. 일본의 도발엔 따끔하게 맞서야지요. 그래서 때로는 ‘정부=국가’인 것입니다. 독도 문제에서도 애국심을 강요할 순 없습니다.
선생님, 오늘 독도처럼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onekor@seoul.co.kr
송한수 부국장 겸 사회2부장
독도가 우리에게 어떤 땅입니까.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 넓이 18만 7453㎡(5만 6703평). 6세기 이래 우산도(于山島)로 불리다 1883년 울릉도 개척령에 따라 이주한 전라도 주민들이 돌을 사투리로 발음해 ‘독섬’이라고 불렀답니다. 1900년 대한제국 칙령에서 석도(石島)라고 썼지요. 주민들은 다시 ‘독도’라고 했고 1906년 울릉군수의 중앙정부 보고서에서 독도(獨島)라고 기록했다죠. 어엿하게 홀로 섰다는 메시지일까요. 그러나 이미 문제가 터진 뒤였지 뭡니까. 1905년 11월 일본은 을사늑약으로 맨 먼저 독도부터 빼앗고 말았지요. 임자도 없는 땅이라며 시마네(島根) 현보에 고시해 영토로 편입했습니다. 다른 나라에 알려질까 두려워서 짜낸, 한반도 침탈 야욕을 숨기려는 잔꾀였습니다.
이곳 정부서울청사 1층엔 ‘독도는 지금’이란 실시간 모니터 화면이 1년 365일 손님을 반깁니다. 이제 우리나라에 닥칠 태풍이 말썽입니다. 그곳도 걱정이겠죠. 경북 울릉군 독도리로 마음부터 달려갑니다. 2015년 7월 20일 오후 1시 27분 우리네 독도는 하얀 구름을 너울처럼 썼군요. 곧 비가 내린답니다.
이제 독도 문제에서 의연했으면 좋겠습니다. 태극기 게양 문제처럼. 국정 최고책임자가 이미지 메이킹 욕심인지 깜짝 방문해 하릴없이 일본을 자극할 게 아니라고, 우리가 멀쩡한 우리 땅 독도를 놓고 도발한 것처럼 국제적 이슈로 악용될 따름이라고 더러 고개를 내젓습니다. 일본의 도발엔 따끔하게 맞서야지요. 그래서 때로는 ‘정부=국가’인 것입니다. 독도 문제에서도 애국심을 강요할 순 없습니다.
선생님, 오늘 독도처럼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onekor@seoul.co.kr
2015-07-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