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균 사회부장
‘대형 재난 발생 시 정부가 보이는 전형적인 패턴은 다음과 같다. 발생 초기에 체계적이고 기민하게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민을 안심시키는 경우는 없음. 사태의 심각성을 축소하며 근거 없이 국민들에게 “괜찮다”고 하니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면 기사 하나가 자동으로 완성됨. ‘국민의 혼란 가능성’을 이유로 관련 정보를 극도로 통제하려는 특성을 보이는데 이때 누군가 근거 없는 내용을 마치 사실인 양 인터넷에 퍼뜨리면 상당수 사람들이 진실로 믿게 됨. 내용이 그럴듯해서이기도 하지만 국민들에게 무작정 안심하라고만 하면서 필요한 정보는 주지 않으니 빚어지는 당연한 결과임. 이로 인해 국민의 불안이 심해지면 정부는 이를 ‘괴담’이라는 말로 포장해 절대로 믿지 말라고 호소하며, 얼마 후 경찰은 ‘괴담 유포자 색출’을 선언함. 그래도 국민 불안이 가라앉지 않고 상황이 더 심각해지면 정부는 초기 대응 실수를 인정하고 마지못해 대국민 사과를 함. 중요한 것은 이런 일이 앞으로의 교훈으로 남아야 한다는 것인데 이후 다른 재난이 발생해도 정부의 관행이 변하거나 개선되는 것은 거의 없음.’
지난주 금요일(5월 29일) 휴대전화 카카오톡으로 ‘평택, 수원에 있는 지금 메르스 바이러스 확진자들이’로 시작하는 글이 들어왔다. 이른바 ‘메르스 괴담’ 중 하나다. 지역·병원명 등 확인을 하기 전에는 진위를 알 수 없는 일부를 빼고는 상당 부분이 상식적이고 개연성 있는 내용들로 채워져 있었다. 이런 생각은 카카오톡에 친구로 맺어져 있는 다른 지인들도 비슷했던 모양이다. 같은 글이 이 사람 저 사람으로부터 전달되며 휴대전화에서 연달아 ‘카톡’, ‘카톡’ 알람음이 울렸다. 그만큼 사실일 수 있다고 보는 사람이 많았다는 방증이다.
어느 사회에나 괴담은 존재해 왔다. 기원전에 나온 이솝우화 ‘늑대와 양치기 소년’은 개인의 거짓말에 대한 권선징악의 교훈에 더해 대중에 괴담을 퍼뜨리는 혹세무민에 대한 경고의 철학을 담고 있다. 괴담의 역사는 그만큼 오랜 것이다. 하지만 적당히 건전한 사고를 가진 사람들은 괴담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유무선 초고속으로 정보가 열려 있는 요즘은 유언비어에 노출될 가능성도 많아졌지만 거꾸로 진실을 가려낼 수 있는 정보의 통로도 다변화돼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수한 사람들이 이번 ‘괴담’을 가족에게, 친구에게, 동료에게 퍼나른 이유는 무엇일까. 정부가 국내 메르스 환자 발생 사실을 처음 발표한 게 5월 20일이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일주일 이상이 지나도록 정부에서 나온 것은 걱정하지 말라는 앵무새 같은 얘기들뿐이었다. 사태 초기인 21일 “다른 나라처럼 잘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는 발언은 그렇다 치더라도 26일에조차 “감시 체계가 정확하게 작동돼 조치들이 이뤄지고 있다”고 한 것은 무엇으로 설명할 것인가.
국민이 정부에 바라는 것이 그리 대단한 것이 있을 리 없다. 내가 낸 세금으로 유지되는 정부가 줄 수 있는 최소한의 믿음 정도를 원하는 것이다. 국민들이 정부의 말을 ‘메르스 괴담’보다 특별히 더 신뢰할 것이 없는, 한 개그 프로그램 이름처럼 ‘도찐개찐’(표준어는 도긴개긴)으로 여기도록 만들어서는 안 될 것이다.
windsea@seoul.co.kr
2015-06-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