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나훈아씨가 탁자 위에 올라가 허리띠를 풀며 바지를 내릴 듯하다가 “벗어야 믿겠습니까”라고 했을 때 “멋있다”는 반응이 상당했다. 2008년의 일인데, 최근 인터넷에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 가수 태진아씨가 해외 원정 도박설을 해명하는 기자회견을 한 뒤로 두 일을 비교하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이런저런 의견이 있지만, 회견의 방식만 놓고 봤을 때 태진아씨의 회견에 좀 더 좋은 점수를 주고 싶다. 억울함으로 하자면 나훈아씨도 오죽했을까. 신체훼손설, 간통설, 암투병설 등 루머에 시달렸다. 그래도 회견의 방식에는 고개가 끄덕여지지 않는다. 나씨의 회견에 기자들이 많이 몰렸던 것은 그의 인기와 명성 덕분이었다. 그것들은 그의 실력과 매력, 노력의 결과물일 것이다.
그럼에도 나씨는 긴 시간 누적된 다중의 관심과 애정은 개인의 것을 넘어 사회적 자산일 수 있다는 점을 의식했어야 했다. 언필칭 ‘팬들의 사랑’이라 하는 그것이다. ‘원로’에게 그에 걸맞은 품위가 요구되는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나씨가 팬들을 향해 협박하듯 감정을 쏟아냈던 그 기자회견장은 하소연할 곳이 없어 유서 한 장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무명의 연예인들이 절박하게 바랐을 기회다. 나씨는 그곳에서 ‘공공의 도구’를 사용해 자신과 사회의 자산을 상당 부분 소비하고 말았다. 그런 점에서 설명에 눈물을 더했던 태진아씨의 호소가 억울함을 푸는 좀 더 바람직한 방식으로 보인다.
“육하원칙에 따라 돈 받은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는 이완구 국무총리의 말에 또 마음 한쪽이 무너진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죽음으로 억울함을 호소했으니, 목숨으로 맞대응하겠다는 것인가.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는 총리가 억울함을 목숨으로 저울질한다면, 다른 무수한 억울함은 어찌해야 하나. 성 전 회장의 마지막 선택 역시 억울함을 재는 척도가 돼서는 안 된다. 억울한 많은 사람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도 관심을 끌지 못하는 세상이다. ‘오죽 억울했으면’이란 말은 이들에게는 또 다른 상처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은 그에 대한 가장 큰 아쉬움이었다. ‘노무현의 가치’를 전승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이 그 ‘마지막’이라는 생각에서다. 노 전 대통령이 인생 전체를 통해 보여 준 그 무엇은 대통령으로서의 업적마저 뛰어넘는 것일 수 있다. 그런 가치가 “그래서 어떻게 됐는데”라고 묻는 어린이들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게 하고 있다. “뒤이은 정권의 기획 사정과 핍박 때문이었다”는 말은 도리어 그 가치를 훼손할 뿐이다.
사실관계에 대한 답이 ‘예’이거나 ‘아니오’로 족하면 좋은 사회다. 법정이 아닌 다음에야, 혼인 서약이 아니라면 ‘맹세’도 필요없으면 더 좋다. 무엇인가를 목숨과 맞바꾸려는 분위기도 바뀌어야 한다. 의혹에 대해 스스로 목숨을 끊어야 가족과 명예와 재산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현실’이 문제인데, 아무래도 제도로서는 늦어 보인다. 먼저 학교와 선생님들이 나설 일이다. 어린이와 청소년부터 보호해야 하니까. ‘목숨’과 ‘억울함’부터 당장 시작해야 한다. 이 부분에 대한 이 총리의 뒤늦은 사과는 다행이다. 이 총리도, 성 전 회장도 그런 사회를 만드는 데 솔선해야 할 지도층 인사다.
jj@seoul.co.kr
이지운 정치부 차장
그럼에도 나씨는 긴 시간 누적된 다중의 관심과 애정은 개인의 것을 넘어 사회적 자산일 수 있다는 점을 의식했어야 했다. 언필칭 ‘팬들의 사랑’이라 하는 그것이다. ‘원로’에게 그에 걸맞은 품위가 요구되는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나씨가 팬들을 향해 협박하듯 감정을 쏟아냈던 그 기자회견장은 하소연할 곳이 없어 유서 한 장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무명의 연예인들이 절박하게 바랐을 기회다. 나씨는 그곳에서 ‘공공의 도구’를 사용해 자신과 사회의 자산을 상당 부분 소비하고 말았다. 그런 점에서 설명에 눈물을 더했던 태진아씨의 호소가 억울함을 푸는 좀 더 바람직한 방식으로 보인다.
“육하원칙에 따라 돈 받은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는 이완구 국무총리의 말에 또 마음 한쪽이 무너진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죽음으로 억울함을 호소했으니, 목숨으로 맞대응하겠다는 것인가.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는 총리가 억울함을 목숨으로 저울질한다면, 다른 무수한 억울함은 어찌해야 하나. 성 전 회장의 마지막 선택 역시 억울함을 재는 척도가 돼서는 안 된다. 억울한 많은 사람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도 관심을 끌지 못하는 세상이다. ‘오죽 억울했으면’이란 말은 이들에게는 또 다른 상처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은 그에 대한 가장 큰 아쉬움이었다. ‘노무현의 가치’를 전승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이 그 ‘마지막’이라는 생각에서다. 노 전 대통령이 인생 전체를 통해 보여 준 그 무엇은 대통령으로서의 업적마저 뛰어넘는 것일 수 있다. 그런 가치가 “그래서 어떻게 됐는데”라고 묻는 어린이들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게 하고 있다. “뒤이은 정권의 기획 사정과 핍박 때문이었다”는 말은 도리어 그 가치를 훼손할 뿐이다.
사실관계에 대한 답이 ‘예’이거나 ‘아니오’로 족하면 좋은 사회다. 법정이 아닌 다음에야, 혼인 서약이 아니라면 ‘맹세’도 필요없으면 더 좋다. 무엇인가를 목숨과 맞바꾸려는 분위기도 바뀌어야 한다. 의혹에 대해 스스로 목숨을 끊어야 가족과 명예와 재산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현실’이 문제인데, 아무래도 제도로서는 늦어 보인다. 먼저 학교와 선생님들이 나설 일이다. 어린이와 청소년부터 보호해야 하니까. ‘목숨’과 ‘억울함’부터 당장 시작해야 한다. 이 부분에 대한 이 총리의 뒤늦은 사과는 다행이다. 이 총리도, 성 전 회장도 그런 사회를 만드는 데 솔선해야 할 지도층 인사다.
jj@seoul.co.kr
2015-04-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