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녀 논설위원
중동 4개국 순방을 다녀온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제2의 중동 붐을 ‘하늘의 메시지’에 비유하면서 ‘대한민국이 텅텅 빌 정도로’ 청년들이 중동에 나가야 한다고 발언한 데 대해 여론의 반응이 싸늘하다. 특히 졸지에 단체로 중동행을 권유받은 청년층의 볼멘 목소리가 크다. 관련 기사가 링크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게시글마다 “현실을 모르는 얘기 같다”, “지금이 1970년대냐” 같은 댓글이 줄줄이 달렸다. 40년 전 몸뚱이 하나만 믿고 머나먼 열사의 나라로 떠나야 했던 가난한 가장들의 가슴 아픈 사연과 남편이 보내 준 풍족한 월급에 아내가 춤바람이 나 숱한 가정이 풍비박산됐던 웃지 못할 세태를 회상하는 댓글도 많았는데 그 덕에 오래 잊고 있었던 추억 속의 그 이름 ‘쿠웨이트 박’이 떠올랐다.
어떻게든 나라 경제의 활로를 찾고, 청년 실업을 완화하려는 대통령의 진정성과 노력을 의심하는 건 온당치 않다. ‘오일 쇼크’로 휘청이던 1975년 부친의 결단으로 사막의 나라에 진출해 중동 특수를 누렸던 기억이 생생한 대통령에게 이번 중동 순방은 그야말로 하늘이 준 기회를 확인하는 자리였을지 모른다.
한국 대통령으로는 8년 만에 방문한 쿠웨이트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를 잇는 순방길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민간 기업인 116명이 동행해 힘을 보탰다. 정부는 중동 순방 성과가 금액으로 9억 6000만 달러이며, 향후 수주 가능성이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포함하면 수백억 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홍보했다.
그런데 시장의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보건의료·교육·정보기술(IT)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의 진출을 강조했지만 결국은 건설 수주에 상당 부분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 한계를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5조원에 달하는 정책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유가 하락 시기에 무리하게 중동 건설 사업을 확장할 경우 자칫 부실을 키울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 실업과 중동 진출을 연결시킨 대통령의 언급도 얼마나 마음이 급했으면 그랬을까 하고 한편으론 이해되면서도 좀 더 신중하고 책임 있는 발언이었다면 하는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든다.
청년 실업률 11.1% 시대에 청년실신(실업+신용불량)이라는 용어에 담긴 젊은이들의 불안과 분노, 간절함 등을 조금만 더 자세히 들여다봤다면 그렇게 농담처럼 대한민국을 비우고 중동에 가라고 툭 던질 일이 아니었다. 영화 ‘국제시장’이 몰고 온 복고와 향수의 영향이 이렇게 ‘쿠웨이트 박’의 추억으로 이어질 줄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다.
coral@seoul.co.kr
2015-03-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