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한수 부국장 겸 사회2부장
친구야, 내가 보낸 최승자 시인의 글을 기억하는가. 2010년 요맘때 일이라네. 여러 사람들에게 띄운 것이야. 짧은 작품을 이메일로 부치곤 했지. 지루하지 않도록. 그날그날 느낀 점을 녹인 촌평을 곁들여서 말이야. 그런데 누군가 이런 말까지 던졌다지 뭔가. 기자란 사람이 그토록 야한(?) 생각을 품었다고. 그 뒤로는 이메일 보내기를 멈췄어. 내 속뜻이 짓뭉개진 듯한 기분 때문이야.
자네에게 이처럼 편지를 띄우는 까닭은 뭘까. 몇몇 가지 당부할까 하고. 풀뿌리 정치판에 뛰어든 몸이니. 먼저 남의 말을 새겨들으라는 것. 누구 말마따나 세상이 우리들 마음 같지는 않아서야. ‘네게로 가리’가 뜻밖에도 오해를 낳은 것처럼. 누군가를 애타게 그리워하는 모습을 그린 글인데 말이지. 휘모리장단에 맞춰. 그래서 벗에겐 이런 부탁을 하겠네. 무슨 말을 꺼낼 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되새김질을 했으면. 아니, 거꾸로 다른 사람의 속뜻을 잘 헤아리길 바라네. 남에게 생채기를 남기지 않게끔.
참 좋은 사례가 떠올라. 엊그제 공무원들을 만났네. 한 간부에게 들은 말이 기억에 또렷해. 박원순 서울시장 얘기로 운을 뗐지. ‘갑(甲)옷을 벗어라’는 주제를 내걸었다며. 이른바 ‘갑질’을 말라는 주문이었다네. 그런데 공무원이 무슨 갑이냐며 그는 웃었어. 오히려 갑 행세인 시민 한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노라면 일을 그르친다고 덧붙였지. 1000만 시민을 돌봐야 할 터에 999만 9999명을 소외, 내지 방치하는 꼴이 된다나. 그러나 한 사람의 민원이 짓뭉개도 괜찮은 것인지 잘 가늠해야 하네. 999만 9999명의 행복도 중요하지만, 단 1명의 불행을 막는 일이야말로 정말 중요해서야. 더구나 나라를 위해 뛰겠다는 공복(公僕)에겐.
많은 공복은 스스로를 ‘을’이라 여기네. 그러나 을이라면 적은 숫자라도 국민, 시민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하지 않겠나. 국민 삶의 질과 맞닿은 굵직굵직한 정책을 가름해서야. 그래서 국민 혈세 어쩌고저쩌고하지 않는가. 거듭 말하지만 한층 겸손해야 하네. 미대부도(尾大不掉)라. 꼬리가 크면 흔들기 어렵다. 본질을 크게 벗어나면 처리하기 벅차다는 뜻이지. 국민을, 시민을 받드는 머슴으로 뛰겠다는 지방자치 시대. 대세를 거슬러 국민, 시민의 힘을 뛰어넘는다면 큰 잘못이야. 때마침 오늘은 아르헨티나 독재자 후안 페론(1895~1974) 대통령과 태국의 탁신 친나왓(65) 총리가 민생을 저버렸다가 군부 쿠데타로 정권을 잃은 날이군.
또한 친구가 많은 국민, 시민들의 의견을 들었으면 해. 그러려면 물론 많이 뛰어야겠지. 건강을 위해서라도 걷기가 좋다는 요즘 아닌가. 모든 위대한 생각은 걷기에서 나온다. 니체의 말이야. 좀 천천히 가면 어떤가. 방향만 제대로 잡혔다면 괜찮다는 말일세.
끝으로 감고한서(甘苦寒暑), 네 글자를 머릿속에 늘 간직하게. 주민 속으로 파고들어 기쁘고, 괴롭고, 차갑고, 무더운 날까지 함께하자는 다짐. 진정성을 보여야지.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지만 삼키기도 한다는 점을 깊이 되새겨야 하네. 건승을 빌겠네. 시민, 국민, 대한민국을 위하여.
onekor@seoul.co.kr
2014-09-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