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2학년 아들의 국어 시험지를 보고 크게 놀랐다. 신통찮은 점수 때문만은 아니었다.
눈을 의심케 하는 문제 하나.
‘철수는 이번 시험에서 100점을 맞아 어른들로부터 칭찬을 받았습니다. 철수는 어떤 표정을 지었을까요?’
찡그리고, 화내고, 울고, 웃는 각양각색의 표정을 지닌 어린 아이의 얼굴 그림이 1번부터 8번까지 나와 있었다. 아이가 고른 답은 살짝 미소를 짓고 있는 얼굴의 4번. 선생님의 동그라미는 함박웃음이 표시된 8번의 몫이었다. 답이 딱 떨어진다는 수학 시험에서도 종종 정답 시비가 이는 판에 사람의 감정을 단 한 가지로 규정하다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고 눈물을 흘리는 선수는 뭐고, 칭찬에 겸연쩍게 낯을 붉히는 이들은 다 뭐란 말인가.
요즘 ‘창의력’ 또는 ‘크리에이티브’라는 말이 요란하다. 아이폰·아이패드로 세계 정보기술(IT) 산업의 지각변동을 가져온 애플의 영향으로 우리 사회에서도 창의적 인재 육성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구글과 휼렛패커드 같은 IT 공룡들도 애플의 뒤를 따라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에서 미래를 찾을 채비를 하면서 위기감은 고조되고 있다.
이에 민간기업이나 정부 할 것 없이 앞다퉈 거대한 청사진들을 제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위원회를 발족하고, 아카데미를 세우는 일도 중요하다. 하지만 이 모든 것 역시 ‘하드웨어’에만 치중하는 느낌이다. 창의력의 원천인 학교와 기업의 문화를 작동시키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시키는 데 소홀하기 때문이다. 교실과 사무실에서 획일적인 학습과 하향식 문화가 여전히 횡행한다면, 대한민국에서 스티브 잡스를 기대한다는 것은 자갈밭에서 싹이 트기를 바라는 셈이다.
무엇보다 창의력을 가로 막는 것은 일류 대학을 졸업한 인재에 대한 환상이다.
일본의 국사(國士)로 일컬어지는 사카이야 다이치는 일류 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인재는 ‘시험치기의 명수’에 불과하다고 단언했다. 기술 개발, 경영 쇄신, 신규 시장 개척 등은 해보기 전까지 정답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가 없다. 때문에 답이 보이는 문제풀이에만 능숙한 사원들로는 한 단계 높은 도약을 절대 이룰 수가 없다는 것이다.
권위주의 문화도 창의력의 ‘적’이다.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다가 귀국한 친구의 아이가 선생님으로부터 처음 들은 말은 “말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다. 미국에 있을 때 확실한 의사 표현으로 칭찬을 받았던 행동거지가 한국에서는 선생님의 가르침에 일일이 토를 다는 버릇없는 태도가 돼버린 것이다.
기업이라고 다를까. 더구나 기업 운영의 주체가 오너 일색인 한국의 현실에 비춰볼 때 다른 주장을 내는 독창적인 구성원이 나올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LG전자의 전 연구원이 구본준 회장에게 띄운 이메일만 봐도 우리 기업 문화의 현주소를 알 수 있다. 그는 “제일 안타까운 것 중 하나가 자유로운 토론문화의 부재”라며 “톱 매니지먼트(최고경영자 및 최고기술책임자)나 연구소장의 코멘트가 있었다는 얘기가 나오면 진위나 이유에 대한 논의 없이 바로 그에 맞게 의사결정이 난다.”고 꼬집었다.
‘남다른 구성원’이 되라고 요구하면서 정작 우리 사회는 창조성을 거부하거나 배제하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인다. 창조력은 소수의 사람들에게서 제기되어 마침내 다수파에게 변혁을 요구하는 성격을 띤다. 따라서 다수추종적 성격이 강한 우리 사회에서는 창조성이 단합을 깨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왕따’ 당하기 십상이다. 이제 바텀 업(bottom-up·상향식) 문화는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수조건이다. 윗사람과 힘센 자가 좀 더 여유롭게 아랫사람을 대하고 그에게 귀를 기울여 주는 일이 막대한 사재를 출연하는 것만큼이나 시급하다. 장유유서(長幼有序)는 분명 미덕이지만 창의적 인재를 길러내야 하는 시대에는 수평적인 소통과 토론에 그 자리를 양보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alex@seoul.co.kr
눈을 의심케 하는 문제 하나.
‘철수는 이번 시험에서 100점을 맞아 어른들로부터 칭찬을 받았습니다. 철수는 어떤 표정을 지었을까요?’
박상숙 문화부장
요즘 ‘창의력’ 또는 ‘크리에이티브’라는 말이 요란하다. 아이폰·아이패드로 세계 정보기술(IT) 산업의 지각변동을 가져온 애플의 영향으로 우리 사회에서도 창의적 인재 육성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구글과 휼렛패커드 같은 IT 공룡들도 애플의 뒤를 따라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에서 미래를 찾을 채비를 하면서 위기감은 고조되고 있다.
이에 민간기업이나 정부 할 것 없이 앞다퉈 거대한 청사진들을 제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위원회를 발족하고, 아카데미를 세우는 일도 중요하다. 하지만 이 모든 것 역시 ‘하드웨어’에만 치중하는 느낌이다. 창의력의 원천인 학교와 기업의 문화를 작동시키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시키는 데 소홀하기 때문이다. 교실과 사무실에서 획일적인 학습과 하향식 문화가 여전히 횡행한다면, 대한민국에서 스티브 잡스를 기대한다는 것은 자갈밭에서 싹이 트기를 바라는 셈이다.
무엇보다 창의력을 가로 막는 것은 일류 대학을 졸업한 인재에 대한 환상이다.
일본의 국사(國士)로 일컬어지는 사카이야 다이치는 일류 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인재는 ‘시험치기의 명수’에 불과하다고 단언했다. 기술 개발, 경영 쇄신, 신규 시장 개척 등은 해보기 전까지 정답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가 없다. 때문에 답이 보이는 문제풀이에만 능숙한 사원들로는 한 단계 높은 도약을 절대 이룰 수가 없다는 것이다.
권위주의 문화도 창의력의 ‘적’이다.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다가 귀국한 친구의 아이가 선생님으로부터 처음 들은 말은 “말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다. 미국에 있을 때 확실한 의사 표현으로 칭찬을 받았던 행동거지가 한국에서는 선생님의 가르침에 일일이 토를 다는 버릇없는 태도가 돼버린 것이다.
기업이라고 다를까. 더구나 기업 운영의 주체가 오너 일색인 한국의 현실에 비춰볼 때 다른 주장을 내는 독창적인 구성원이 나올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LG전자의 전 연구원이 구본준 회장에게 띄운 이메일만 봐도 우리 기업 문화의 현주소를 알 수 있다. 그는 “제일 안타까운 것 중 하나가 자유로운 토론문화의 부재”라며 “톱 매니지먼트(최고경영자 및 최고기술책임자)나 연구소장의 코멘트가 있었다는 얘기가 나오면 진위나 이유에 대한 논의 없이 바로 그에 맞게 의사결정이 난다.”고 꼬집었다.
‘남다른 구성원’이 되라고 요구하면서 정작 우리 사회는 창조성을 거부하거나 배제하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인다. 창조력은 소수의 사람들에게서 제기되어 마침내 다수파에게 변혁을 요구하는 성격을 띤다. 따라서 다수추종적 성격이 강한 우리 사회에서는 창조성이 단합을 깨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왕따’ 당하기 십상이다. 이제 바텀 업(bottom-up·상향식) 문화는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수조건이다. 윗사람과 힘센 자가 좀 더 여유롭게 아랫사람을 대하고 그에게 귀를 기울여 주는 일이 막대한 사재를 출연하는 것만큼이나 시급하다. 장유유서(長幼有序)는 분명 미덕이지만 창의적 인재를 길러내야 하는 시대에는 수평적인 소통과 토론에 그 자리를 양보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alex@seoul.co.kr
2011-08-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