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17만 3000명 초과 공급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인력 초과기술혁명 영향 공학 수요 계속 증가
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면서 2025년까지 교육계열 인력이 17만 3000명이나 초과돼 교육 전공자들의 구직난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으로 전국 초·중등 발령 대기교사가 5000명을 넘서는 등 학생수 감소에 따른 임용 대기자 적체 현상은 이미 시작된 상황이다. 반대로 공학계열은 관련 산업 고도화로 인력부족 현상이 계속 심해져 시장 수요보다 26만 8000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공학계열 정원을 대폭 늘리는 등 전공계열별 인력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2015~2025 대학 전공계열별 인력수급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대졸자 인력은 2015~2020년 177만 9000명에서 2020~2025년 157만 1000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전문대 졸업자도 같은 기간 97만 1000명에서 81만명으로, 대학원 졸업생은 52만명에서 43만 6000명으로 감소한다.
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면서 교육 전공자의 일자리 경쟁이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까지 17만 3000명이 초과 공급된다. 사진=한국고용정보원
그러나 전반적인 배출 인력 감소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공계열은 고용시장의 인력수요가 급감하면서 ‘일자리 경쟁’이 극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적으로는 21만 2000명의 대졸 인력이 초과 배출된다.
전공계열 중 배출인력이 가장 많은 ‘사회계열’은 인력 초과가 가장 극심할 것으로 예상됐다. 2015~2020년 12만 2000명, 2020~2025년 8만 3000명 등 20만명이 넘는 인원이 시장 수요보다 많이 배출될 전망이다. 최근 수년간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지원자가 몰리고 정원이 급증한 ‘경영·경제’에서만 13만 5000명이 초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력수요는 많지만 쏠림 현상 때문에 너무 많은 전공자가 배출돼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이다. 사회과학도 7만 8000명이 초과된다. 반대로 법률계열은 시장 수요가 늘어 9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분석됐다.
지금과 같은 시스템을 유지할 경우 사회계열 만큼 인력이 두드러지게 많이 배출되는 분야는 ‘교육계열’이다. 2015~2020년 5만 5000명, 2020~2025년 11만 8000명 등 17만 3000명이 초과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저출산 영향으로 중·고등학생을 담당하는 ‘중등교육’에서 절반이 넘는 9만 1000명이 초과될 것으로 관측됐다. 연구팀은 “학령인구 감소에 기인한 결과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교육계열 고용환경은 계속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그러나 교육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정책을 추진한다면 미래 고용환경이 개선될 여지도 있다”고 평가했다.
4차 산업혁명 등 급속한 기술혁신으로 ‘공학계열’의 인력은 계속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5~2025년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력만 26만 8000명에 이른다. 특히 전기·전자(-7만 8000명), 기계·금속(-6만 8000명), 건축(-6만명), 토목·도시(-5만 1000명) 등의 분야에서 인력 부족이 심화된다. 다만 공학계열 중에서도 정밀·에너지(8000명), 소재·재료(1만 2000명) 분야는 인력이 초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력수요 많은 공학계열 정원 조정 필요
‘의약계열’은 지원인력이 늘면서 2015~2020년 5000명이 초과됐다가 2020~2025년 1만명이 부족해진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인력 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에 심한 초과현상은 생기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인력 부족현상이 심한 간호 계열은 지원자가 늘면서 9000명이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약학은 1만 6000명, 의료는 1만명 부족해진다.
순수 과학 분야가 많은 ‘자연계열’은 2015~2025년 7만 5000명이 초과된다. 특히 생물·화학·환경 계열의 인력 초과현상이 가장 심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농림·수산 분야는 3만명 가량 인력이 부족해진다. ‘예체능계열’은 1만 4000명이 초과된다. 디자인(2만 5000명), 무용·체육(2만 1000명)은 인력 초과 현상이 생기지만 미술·조형(-1만 4000명), 음악(-1만명), 응용예술(-5000명) 등의 분야는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팀은 수요 전망에 따라 컴퓨터, 통신, 전기·전자, 기계, 금속 등의 분야는 입학정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대로 비교적 정원 규모가 큰 경영·경제 계열과 같은 사회계열은 추가적인 초과공급이 예상돼 정원감축이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학분야는 인력 부족현상이 심해져 2025년까지 26만 8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학의 정원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사진=한국고용정보원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