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집 현관에는 아이들이 그린 그림들이 걸려 있습니다.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새장’이라는 제목의 그림이 있습니다. 일곱 살 큰애가 지난해 태국으로 가족여행을 가는 도중 비행기 안에서 그린 것입니다. 화면의 절반 정도를 주황색 문과 노란색 문, 파란색 문이 달린 큰 새장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윗부분 좌우에 새가 두 마리 그려져 있어 사육장이 마치 큰 동물의 얼굴처럼 보입니다. 바닥에는 거꾸로 누운 새 두 마리가 발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사육장 주변에는 파란색 옷을 입은 사람들과 큼직한 벌레들, 그리고 커다란 나무와 알록달록한 색깔의 공이 보입니다. 대담한 화풍에 생기 넘치는 색채의 그림이지요.
큰애는 최근 ‘핼러윈’이라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온갖 괴물이 종이를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토끼를 닮은 괴물, 해골처럼 생긴 괴물, 새를 닮은 괴물이 모여 있습니다. 본 적도 없는 괴물을 모두 상상해 그렸다고 합니다. 아이의 상상력이 그저 놀라울 따름입니다. 그림들을 보고 있노라면 ‘얘는 혹시 영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그래서 아내에게 “큰애를 미술학원에 보내볼까?”라고 넌지시 물어봤습니다.
아내는 답장으로 글을 하나 보내왔습니다. 미국 와튼스쿨 최연소 종신교수로 유명한 애덤 그랜트 교수가 최근 뉴욕타임스에 쓴 ‘창의적인 아이로 키우려면: 물러서라’라는 제목의 칼럼입니다. 아이가 2세 때 글을 읽고 4세에 바흐를 연주하고, 6세에 계산을 하고 8세에 외국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등 영재성을 보이면 부모들은 마치 로또에라도 당첨된 것처럼 좋아합니다. 하지만 그랜트 교수는 “영재성이 성인까지 이어지는 사례는 오히려 드물다”고 지적합니다. 아이가 영재성을 보이면 ‘한 우물만 파야 한다’고 생각해 부모들이 아이에게 간섭하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그랜트 교수는 영재성을 보이는 아이들이 뛰어난 성인으로 자라도록 하려면 아이가 여러 방면의 학문을 접하고 통찰력을 갖도록 해 줘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실제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을 조사해 보니 보통의 과학자들보다 12~22배나 더 각종 예체능 관련 취미를 즐긴다고 합니다. 그랜트 교수의 지적은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시장은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교육청 또는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을 비롯해 학교나 지역에서 개설한 영재학급이 지난해 기준 전국에 2500여개나 됩니다. 그런데도 왜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영재교육 기관을 통해 배출된 영재가 드물까요.
영재교육 기관에서 영재를 선발할 때 시험을 보는데, 그 시험들이 아이의 영재성을 판별하기보다 사교육으로 얼마나 준비를 잘했느냐를 따집니다. 입학시험에는 올림피아드나 수학 경시대회 등 사교육을 받아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나옵니다. 실제로 서점에 가보면 영재교육 기관에 들어가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는 교재들이 넘쳐납니다. 글쓰기가 서투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기관 입학 서류인 자기소개서 작성 방법을 가르치는 사교육도 성행합니다. 무엇보다 영재교육 기관 입학의 목적이 자녀의 대입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부모의 마음이 숨어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영재교육 기관이 오히려 아이들의 영재성을 더 키우지 못하도록 하는 게 아닐까 안타깝습니다.
gjkim@seoul.co.kr
큰애는 최근 ‘핼러윈’이라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온갖 괴물이 종이를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토끼를 닮은 괴물, 해골처럼 생긴 괴물, 새를 닮은 괴물이 모여 있습니다. 본 적도 없는 괴물을 모두 상상해 그렸다고 합니다. 아이의 상상력이 그저 놀라울 따름입니다. 그림들을 보고 있노라면 ‘얘는 혹시 영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그래서 아내에게 “큰애를 미술학원에 보내볼까?”라고 넌지시 물어봤습니다.
아내는 답장으로 글을 하나 보내왔습니다. 미국 와튼스쿨 최연소 종신교수로 유명한 애덤 그랜트 교수가 최근 뉴욕타임스에 쓴 ‘창의적인 아이로 키우려면: 물러서라’라는 제목의 칼럼입니다. 아이가 2세 때 글을 읽고 4세에 바흐를 연주하고, 6세에 계산을 하고 8세에 외국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등 영재성을 보이면 부모들은 마치 로또에라도 당첨된 것처럼 좋아합니다. 하지만 그랜트 교수는 “영재성이 성인까지 이어지는 사례는 오히려 드물다”고 지적합니다. 아이가 영재성을 보이면 ‘한 우물만 파야 한다’고 생각해 부모들이 아이에게 간섭하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그랜트 교수는 영재성을 보이는 아이들이 뛰어난 성인으로 자라도록 하려면 아이가 여러 방면의 학문을 접하고 통찰력을 갖도록 해 줘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실제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을 조사해 보니 보통의 과학자들보다 12~22배나 더 각종 예체능 관련 취미를 즐긴다고 합니다. 그랜트 교수의 지적은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시장은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교육청 또는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을 비롯해 학교나 지역에서 개설한 영재학급이 지난해 기준 전국에 2500여개나 됩니다. 그런데도 왜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영재교육 기관을 통해 배출된 영재가 드물까요.
영재교육 기관에서 영재를 선발할 때 시험을 보는데, 그 시험들이 아이의 영재성을 판별하기보다 사교육으로 얼마나 준비를 잘했느냐를 따집니다. 입학시험에는 올림피아드나 수학 경시대회 등 사교육을 받아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나옵니다. 실제로 서점에 가보면 영재교육 기관에 들어가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는 교재들이 넘쳐납니다. 글쓰기가 서투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기관 입학 서류인 자기소개서 작성 방법을 가르치는 사교육도 성행합니다. 무엇보다 영재교육 기관 입학의 목적이 자녀의 대입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부모의 마음이 숨어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영재교육 기관이 오히려 아이들의 영재성을 더 키우지 못하도록 하는 게 아닐까 안타깝습니다.
gjkim@seoul.co.kr
2016-03-22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