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보다
  • [우주를 보다] 식사예절은 별로네…‘트림’하는 블랙홀

    [우주를 보다] 식사예절은 별로네…‘트림’하는 블랙홀

    거대한 초질량 블랙홀이 주위 물질을 꿀꺽 삼키고 두 차례나 ‘트림’하는 광경이 사상 처음으로 관측됐다. 최근 미국 콜로라도대학 연구팀은 미 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엑스선 망원경을 통해 블랙홀의 트림 장면을 두 번이나 포착했다고 밝혔다. 공상과학 영화의 배경으로 등장해 우리에게도 친숙한 블랙홀은 모든 것을 흡수하고 파괴하며 절대 헤어나올 수 없는 존재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블랙홀은 주위에 인접한 가스와 먼지, 심지어 별까지 통째로 먹어 치운 뒤 마치 트림하듯 격렬하게 외부로 가스를 분출한다. 이 과정에서 빛조차 흡수해 보이지 않는 블랙홀의 존재가 확인된다. 이번에 연구 대상에 오른 블랙홀은 지구에서 8억 광년 떨어진 은하인 SDSS J1354+1327의 중심부에서 확인됐다. 연구팀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뿌연 붉은빛 가스는 블랙홀이 뿜어낸 최근의 트림, 그리고 아래쪽 녹색빛은 10만년 전 방출된 트림의 잔여물이다. 연구를 이끈 줄리에 코머퍼드 교수는 “블랙홀은 게걸스러운 먹보로 식사 예절이 별로”라면서 “과거에 블랙홀이 한 차례 트림하는 모습은 관측된 바 있으나 두 차례는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두 트림 사이의 시간 차이
  • [우주를 보다] 우주에 걸린 추상화… 가스 행성  ‘목성의 민낯 ’

    [우주를 보다] 우주에 걸린 추상화… 가스 행성 ‘목성의 민낯 ’

    마치 신이 물감으로 그린 듯한 한 폭의 추상화 같은 목성의 모습이 포착됐다. 최근 미국 CNN과 타임 등 주요 언론은 미 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주노가 촬영한 목성의 생생한 모습을 사진으로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난달 중순 주노가 목성을 근접 비행하면서 촬영한 것으로 다른 어떤 사진보다도 거대한 가스행성의 민낯을 생생히 보여 준다. 흰색 등의 물감처럼 휘감겨 있는 지점은 목성의 구름띠다. 이 중 둥글게 보이는 타원형의 점들은 시속 수백㎞로 부는 지옥 같은 목성의 폭풍이다. 이 사진은 시민과학자 제럴드 아히슈테트와 션 도런의 합작품으로 이들은 주노가 보내온 데이터를 색보정해 이처럼 그림 같은 목성을 만들었다. 2011년 8월 발사된 주노는 28억㎞를 날아가 2016년 7월 4일 미국 독립기념일에 맞춰 목성 궤도에 안착했다. 주노의 주 임무는 목성 대기 약 5000㎞ 상공에서 지옥 같은 목성의 대기를 뚫고 내부 구조를 상세히 들여다보면서 자기장, 중력장 등을 관측하는 것으로 올해 그 수명을 다한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우주를 보다] “굿바이 지구·달” 이별사진 보낸 소행성 탐사선

    [우주를 보다] “굿바이 지구·달” 이별사진 보낸 소행성 탐사선

    지구와 달의 모습이 멀리서 한 장면에 담긴 특별한 사진이 공개됐다. 지난 2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무인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지구를 떠나며 촬영한 이별 사진을 공개했다. 지구와 달이 형제처럼 사이좋게 촬영된 이 사진은 지난해 10월 2일 오시리스렉스가 촬영한 데이터를 합쳐 만든 것이다. 촬영 당시 지구와 탐사선의 거리는 500만㎞로 지구와 달의 거리보다 13배 정도 멀다. 오시리스렉스는 소행성 탐사선으로 2016년 9월 발사됐다. 흥미로운 점은 단순히 소행성의 궤도를 돌며 연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표면까지 하강해 로봇팔로 샘플을 채취한 뒤 지구로 가져온다는 사실이다. 목적지는 지구 근접 소행성 ‘베누’(1999 RQ36)다. 베누는 지름이 500m 정도인 작은 소행성이지만 태양계 생성 때의 원형 물질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나아가 생명의 기원인 유기물의 출처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오시리스렉스는 오는 12월 베누에 도착할 예정으로 1년여의 일정으로 궤도를 돌며 관측한다. 2020년에는 표면의 샘플을 60g 이상 채취하며 이듬해에는 다시 지구로 귀환한다. 지구 도착은 2023년 9월로 샘플
  • [우주를 보다] 초음속 비행 폭발음을 사진으로 담은 NASA

    [우주를 보다] 초음속 비행 폭발음을 사진으로 담은 NASA

    비행기가 음속(시속 1224㎞)을 돌파하며 생기는 충격파의 모습이 사진으로 촬영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초음속 비행기가 내는 큰 소음인 ‘소닉붐’의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제트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할 때 충격파가 생기며 이때 발생하는 폭발음을 소닉붐이라 부른다. 지상에서는 견디기 힘들 정도의 굉음이 나오며, 이는 초음속 여객기가 대중화되지 못한 주요 원인이 됐다. 소리가 눈에 보이는 사진이 된 것은 NASA의 특별한 기술 덕이다. NASA가 특허출원한 이 기술은 1864년 독일 물리학자 어거스트 토플러가 개발한 촬영법인 ‘슐리렌법’을 응용·발전시킨 것이다. 슐리렌법은 본래 공기의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굴절률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촬영법이다. NASA에서는 그간 슐리렌법을 개선한 BOSCO(Background Oriented Schlieren using Celestial Objects) 기술을 개발해 왔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 속 기체는 미 공군조종사 훈련기인 T38로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사진에서 기체 위아래로 붉은색으로 퍼져나가는 빛이 바로 충격파다. NASA
  • [우주를 보다] 태양계 최대 폭풍 목성 대적점 깊이 지구 바다의 50배

    [우주를 보다] 태양계 최대 폭풍 목성 대적점 깊이 지구 바다의 50배

    목성의 상징인 거대한 크기의 대적점(大赤點)의 속살이 일부 벗겨졌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 지구물리학회 연례회의에서 대적점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830년 처음 관측된 대적점은 대기현상으로 발생한 일종의 폭풍이다. 태양계에서 가장 강한 폭풍인 대적점은 그 크기만 1만 6000㎞로 지구 지름보다 1.3배 크다. 이번 연구는 지난 7월 목성탐사선인 주노가 대적점을 근접 비행하면서 얻어진 데이터로 이루어졌다. 당시 주노는 구름에 가려진 목성의 깊은 대기층을 조사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방사계(microwave radiometer)를 동원해 약 300㎞까지의 속살을 들여다봤다. 주노 프로젝트 수석연구원인 스콧 볼든 박사는 “목성 대적점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질문 중 하나는 그 심연의 깊이”라면서 “조사 결과 지구의 바다보다 50~100배는 더 깊으며 상층부보다 안쪽이 더 따뜻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적점 안 상층부와 하층부의 온도 차이가 강렬한 바람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처음 관측된 이후 대적점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19세기 대적점은
  • [우주를 보다] 우주 ‘명당자리’서 찰칵… 수줍은 듯 붉은빛 발한 슈퍼문

    [우주를 보다] 우주 ‘명당자리’서 찰칵… 수줍은 듯 붉은빛 발한 슈퍼문

    한국 시간으로 지난 4일 0시 47분 평소보다 달이 더 크게 보이는 이른바 ‘슈퍼문’이 세계 곳곳 하늘에 두둥실 떠올랐다. 지구촌의 수많은 사람들이 땅 위에서 커다란 보름달을 보며 감탄하는 사이 몇몇의 우주인은 ‘명당자리’에 앉아 이를 관측했다.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비행사 랜디 브레스닉이 트위터를 통해 우주에서 본 슈퍼문의 모습을 전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된 슈퍼문의 모습은 지상에서 바라본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을 자아낸다. 태양빛을 받아 푸르게 빛나는 지구 위로 수줍은 듯 붉은빛을 발하는 달의 모습은 그야말로 우주가 빚어낸 하나의 작품이다. 브레스닉은 “오늘밤 슈퍼문을 위한 아름다운 월출”이라면서 “구름의 방해 없이 ISS 맨 앞줄에 앉아 이를 지켜봤다”고 트위터에 썼다. 실제로 ISS는 지구를 직접 관측하기에 최고의 공간으로, 고도 약 350~460㎞에서 시속 2만 7740㎞의 속도로 하루에 16번 지구의 궤도를 돈다. 이 때문에 ISS는 월출과 월몰은 물론 일출과 일몰, 오로라, 태풍, 번개, 수많은 별을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명당자리다.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한 ‘우주쇼’ 중 하나인 슈퍼문은 평소보다 달이
  • [우주를 보다] 유일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의 유작

    [우주를 보다] 유일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의 유작

    태양계 내 행성 중 가장 신비롭게 보이는 토성은 아름다운 고리뿐 아니라 수많은 위성을 거느린 ‘달부자’ 로도 유명하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촬영한 토성의 달 이아페투스의 모습을 공개했다. 마치 두 얼굴을 가진 듯 음양(陰陽)이 뚜렷한 이아페투스는 지름이 1471㎞로 토성의 중심에서 약 356만㎞ 떨어져 있다. 또한 표면은 얼음으로 덮여 있으며 군데군데 크레이터와 적도 부근에 위치한 거대한 주름 덕에 멀리서 보면 호두처럼 보이는 얼굴이다. 이아페투스는 ‘얼굴’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극단적으로 갈리는데 지금까지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어두운 부분은 인근 천체로부터 날아온 유기화합물이 덮여 생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NASA 측은 이 사진에 ‘이아페투스와의 작별’(Farewell to Iapetus)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그 이유는 유일한 토성 탐사선이었던 카시니호가 한국 시간으로 지난 15일 저녁 8시 55분쯤 토성 대기권으로 뛰어들어 산화했기 때문이다. 이아페투스를 모델로 한 카시니호의 유작인 셈으로, 언제 현장에서 이 같은 사진을 다시 찍을 수 있을지 기약은 없다. 이 사진은 지난 5월
  • [우주를 보다] 태양 가린 달… 북미 대륙에 검은 그림자

    [우주를 보다] 태양 가린 달… 북미 대륙에 검은 그림자

    현지시간으로 21일 오전 10시 15분(한국시간 22일 새벽 2시 15분) 미국 오리건주를 시작으로 달이 태양을 덮는 개기일식이 일어났다. 이날 지상의 미국인들은 모두 ‘해를 품는 달’의 진기한 모습을 지켜보며 탄성을 질렀다. 이처럼 미국 대륙을 후끈 달아오르게 만든 99년 만의 개기일식은 땅 위에서만 주목한 이벤트는 아니다. 그렇다면 우주에서는 이번 ‘우주쇼’가 어떻게 보였을까? 먼저 미 항공우주국(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촬영한 영상을 보면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 앞을 가로막고 나선 것이 바로 달이다. 이는 오직 SDO에서만 볼 수 있다. 태양을 촬영하고 있는 SDO 카메라 앞으로 달이 지나가면서 생긴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에 지상에서 우리들이 보는 일식과 구분해 전문가들은 이를 ‘달 자오선 통과’라 부른다. 미 국립해양대기국(NOAA)의 최신형 기상위성 GOES16이 촬영한 영상은 더욱 흥미롭다. 지구의 기상과 대기 현상을 상세히 관측할 목적으로 운영되는 GOES16의 카메라에도 달의 모습은 담겨 있다. 사진을 자세히 보면 북미 대륙 위에 덮여 있는 검은 구름 같은 존재가 바로 달 그림자다. 흥미로운 사진 하나 더. 지상에서 본 일식
  • [우주를 보다] 엔진 불꽃같네… 토성 위성의 얼음분수

    [우주를 보다] 엔진 불꽃같네… 토성 위성의 얼음분수

    마치 당장이라도 우주로 이륙할 듯 힘차게 ‘쌍발 엔진’을 켠 흥미로운 위성 사진이 공개됐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촬영한 위성 엔셀라두스의 신비로운 모습을 공개했다. 지난 4월 13일 80만 8000㎞ 떨어진 위치에서 카시니호가 촬영한 이 사진은 태양을 등지고 선 엔셀라두스 모습이 가시광의 영역으로 담겨 있다. 흥미로운 것은 엔셀라두스 남극 부근에서 아래로 솟구치는 두 줄기 불꽃 같은 것이다. 사진만 보면 마치 우주로 날아가는 둥그런 로켓이 엔진에서 불꽃을 분사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일종의 얼음 분수다. 지하에 거대한 바다가 숨겨져 있을 것으로 보이는 엔셀라두스는 남반구에 간헐천이 101개나 존재한다. 간헐천은 뜨거운 물과 수증기가 주기적으로 분출하는 온천으로 2005년 존재가 처음 확인됐다. 이 간헐천들은 초당 200㎏의 얼음과 수증기를 분출하는데, 엔셀라두스의 중력이 워낙 약하고 대기가 없어 이처럼 로켓의 엔진이 점화되듯 우주 공간으로 얼음 알갱이와 여러 물질들을 쏟아 낸다. 엔셀라두스의 표면이 흰색 페인트를 칠한 듯 하얀색으로 보이는 것은 얼음이 눈송이처럼 표면 위에 떨어지기 때문으로, 달보다 10배 더 밝다. 박
  • [우주를 보다] 포착!  650년 전 베텔게우스 ‘불꽃같은 순간’

    [우주를 보다] 포착! 650년 전 베텔게우스 ‘불꽃같은 순간’

    지구촌 천문학자들이 즐겨 찾는 별 베텔게우스가 최근 가장 선명한 모습을 드러내 화제다. 최근 프랑스 파리천문대 등의 국제 천문학자들은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알마’(ALMA)로 포착한 베텔게우스의 모습을 지난 26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적색 초거성인 베텔게우스는 오리온자리의 좌상 꼭짓점에 있으며 지구와의 거리는 약 650광년으로 별 중에서는 그나마 가깝다. 붉게 타오르는 듯한 베텔게우스의 ‘신상’ 이미지가 볼품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구와의 거리 때문에 사실 점 수준으로도 촬영하기는 쉽지 않다. 베텔게우스는 여러 모로 흥미로운 별이다. 먼저 베텔게우스의 크기는 태양의 1400배로 50만배나 밝게 빛난다. 만약 베텔게우스를 우리의 태양 자리에 끌어다 놓는다면 목성의 궤도까지 잡아먹을 정도다. 또한 나이가 ‘불과’ 850만년으로 젊디젊지만, 조만간 임종을 앞둔 별이기도 하다. 곧 수명을 다해 초신성으로 폭발할 운명으로 어쩌면 현장에서는 이미 폭발했을지도 모른다. 만약 오늘 초신성으로 폭발했다면 우리는 650년 후에나 ‘우주의 불꽃놀이’를 지켜볼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이몬 오고르만 박사는 “수십 년간 베텔게우스를 관측해 왔는데 표면뿐 아니라 내부 온도까지
  • [우주를 보다] 탐사로봇이 화성에 새긴 작지만 위대한 ‘발자국’

    [우주를 보다] 탐사로봇이 화성에 새긴 작지만 위대한 ‘발자국’

    머나먼 화성 땅에서 지금도 묵묵히 임무수행 중인 탐사로봇 오퍼튜니티가 촬영한 사진을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했다. 폭 27m의 크레이터를 배경 삼아 촬영한 이 사진에는 흥미롭게도 오퍼튜니티가 남긴 작지만 위대한 ‘발자국’이 줄줄이 새겨져있다. ●달에는 인류가, 화성엔 로봇이 발자국 남겨 NASA가 명명한 이 크레이터의 이름은 오리온. 이는 선배들이 남긴 업적을 기리기 위해 새롭게 헌사된 이름이다. 지금으로부터 45년 전인 1972년 4월 16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아폴로 16호가 달을 향해 날아올랐다. 모선에서 분리돼 달에 내려앉은 착륙선의 이름이 바로 오리온. 당시 우주비행사 존 W 영과 찰스 M 듀크 주니어는 오리온을 타고 달에 사뿐히 내려앉아 71시간을 머물렀다. 45년을 사이에 두고 달에는 인류가, 화성에는 로봇이 발자국을 남긴 것이다. 오퍼튜니티가 촬영한 사진을 전달받은 듀크는 “정말 환상적인 사진으로 대단한 업적”이라고 치켜세우며 “45년 전 나는 플럼 크레이터의 가장 자리에 서서 탐사를 이어 갔다”고 밝혔다. NASA에 따르면 오리온 크레이터와 플럼 크레이터는 크기가 거의 비슷하다. 지금은 ‘후배’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에 밀려 대
  • [우주를 보다]  21광년 너머  지구 빼닮은 ‘슈퍼 지구’는…

    [우주를 보다] 21광년 너머 지구 빼닮은 ‘슈퍼 지구’는…

    지구에서 21광년 떨어진 곳에 ‘슈퍼 지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과학자들이 발견해 냈다. 슈퍼 지구는 물과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된 지구형 행성으로, 질량이 지구보다 큰 천체를 말한다. ●물·생명체 존재 가능성 있는 행성 ‘GJ625’ 발견 카나리아제도 천체물리학연구소(IAC) 연구진은 M형 왜성이자 적색왜성인 글리제625(GJ625)에서 약 0.08천문단위(AU·1AU는 지구~태양 간 거리) 떨어져 있는 곳에서 새로운 암석 행성 GJ625 b를 발견했다. 이 암석 행성이 바로 슈퍼지구의 0순위 후보로 떠오른 것이다. 이들 천문학자는 카나리아제도에 있는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의 3.6m 구경 갈릴레오국립망원경(TNG)의 북반구용 고정밀 시선속도측정 행성탐사기(HARPS-N)를 사용해 3년 6개월 동안 스펙트럼 151개를 얻었다. 연구진은 이 중에서 시선속도(천체가 관측자의 시선 방향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속도)에 생긴 작은 변화를 찾아내 슈퍼 지구의 존재를 밝혀냈다. ●지구보다 질량 2.8배… 14일 주기 공전 이 행성은 분석 결과 질량은 지구의 약 2.8배로, 생명거주가능구역에서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약 14일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어 액체 상
  • [우주를 보다] ‘우주쥐’ 73마리 탄생… 출산율 ‘지상쥐’ 수준

    [우주를 보다] ‘우주쥐’ 73마리 탄생… 출산율 ‘지상쥐’ 수준

    우주에서 생명이 태어나는 SF 영화 속에서나 볼 법한 일이 현실이 되고 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ABC뉴스 등 해외 언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장기간 보관됐던 쥐의 정자를 지상에서 난자와 수정시켜 건강한 쥐 73마리가 탄생했다고 보도했다. 일명 ‘우주쥐’라는 흥미로운 별칭이 붙은 이 쥐들은 일본 야마나시대학의 연구로 태어났으며 정상적으로 건강하게 자라는 것까지 확인됐다. ●포유류 생식 관련 우주 방사선 영향 안 밝혀져 일반적으로 우주공간의 방사선량은 지상의 100배에 달하기 때문에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생식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주 방사선 노출과 무중력 상태가 포유류 생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게 없었다. ●ISS 9개월 보관 동결건조 정자와 지상 난자 수정 연구팀은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와 공동으로 2013년 8월 ISS에 동결건조한 쥐의 정자를 보내 9개월 후 회수했다. 연구팀은 이를 다시 지상의 난자와 수정시켜 73마리의 쥐를 탄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출산율도 지상의 정자와 난자로 탄생시킨 것과 비교해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었다. ●지상 난자가 손상된 냉동조건 정자 복구해
  • [우주를 보다] 지구 야경 공개한 NASA… 한반도 모습은

    [우주를 보다] 지구 야경 공개한 NASA… 한반도 모습은

    더 선명하게 보이네…南北의 차이 태양빛을 받아 지구 전체가 환하게 빛나는 모습을 서구에서는 푸른 구슬을 뜻하는 ‘블루마블’이라 부른다. 우리의 푸른 구슬은 태양계에 둘도 없는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지만, 태양이 지면 또 다른 모습인 검은 구슬, 즉 ‘블랙마블’로 변한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본 지구의 야경을 공개했다. 최신형 지구관측 위성인 수오미 NPP가 촬영한 데이터로 만든 이 사진은 태양이 진 후 인류의 거주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 준다. 이를 알 수 있는 관찰 대상은 바로 밤을 환하게 밝히는 인공 불빛이다. 사람이 살고 있는 지역을 따라 빛나는 불빛과 칠흑 같은 어둠의 대비를 통해 인류의 발자취가 고스란히 블랙마블에 녹아 있다. 특히 우리에게 흥미로운 것은 한반도의 야경이다. 밤이 되면 한반도는 허리가 잘린 하나의 섬이 된다. 서울을 중심으로 눈부시게 빛나는 남쪽과 비교해 보면 북쪽은 어둠의 왕국이다. 특히 서울 수도권은 세계 여느 도시보다도 더 환하게 번쩍거린다. 부산 역시 서울에 비해 크기만 작을 뿐 빛을 밝게 내뿜었다. 하지만 북한의 수도 평양이 내뿜는 불빛은 남한의 중소도시만도 못하다. NASA에 따르면 북한의 경
  • [우주를 보다] 천왕성에도 신비한 오로라 있네요

    [우주를 보다] 천왕성에도 신비한 오로라 있네요

    31년 전이다. 1986년 1월 24일 ‘인류의 척후병’ 보이저 2호가 ‘하늘의 신’ 천왕성(Uranus)을 스쳐 지나갔다. 5시간 30분의 근접비행 동안 보이저 2호는 8만 1500㎞ 떨어진 곁에서 그간 ‘얼굴’도 제대로 몰랐던 천왕성의 모습을 인류에게 전송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보이저 2호와 허블우주망원경이 ‘합작’한 사진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바로 31년 전 보이저 2호가 남긴 사진과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을 합성한 것.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은 신비로운 오로라다. 사진에서 천왕성 내에 밝게 빛나는 부분이 오로라, 행성 위에는 신비로운 고리가 보인다. 사진에서는 고리가 천왕성 위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토성처럼 적도 부근에 위치해 있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에 이끌려 극지방으로 진입하면서 대기 입자와 반응해 발생하는 빛을 말한다. 흥미롭게도 태양계의 ‘큰형님’ 목성과 토성, 그리고 천왕성에도 오로라는 존재한다. 이 중 천왕성의 오로라는 좀처럼 인류에게 그 자태를 허락하지 않는다. 역대 관측된 천왕성의 오로라는 2011년, 2012년, 2014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