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딩 두루마기·기와 시상대… 평창 장식할 ‘모던 한국’

패딩 두루마기·기와 시상대… 평창 장식할 ‘모던 한국’

한재희 기자
입력 2017-12-27 18:50
수정 2017-12-27 19: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상 의상·음악·시상품 공개

강산이 세 번 바뀌는 동안 ‘한국의 미(美)’도 더욱 세련되게 변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103차례 열릴 시상식을 두고 하는 말이다.
평창올림픽 시상식 미리보기
평창올림픽 시상식 미리보기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시상 의상을 입은 남녀 모델들이 2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시상식 발표회에서 시상 받침대와 메달, ‘어사화’를 쓴 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 인형 등을 선보이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1988 서울올림픽 시상 요원의 전통 한복. IOC제공
1988 서울올림픽 시상 요원의 전통 한복.
IOC제공
2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공개된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의 시상 의상과 음악, 시상품 등은 한국의 전통 문화를 기반으로 현대적 아름다움을 가미하려는 노력이 곳곳에서 묻어났다. 1988 서울올림픽이 세계에 한국의 전통을 소개하는 첫 자리였다면, 30년이 지나고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은 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한국의 미에 방점이 찍혔다.

서울올림픽 시상 요원들의 복장은 전통 한복이었다. 쪽진 머리에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버선과 고무신까지 갖춰 신었다. 노란 한복을 입은 시상 요원은 금메달리스트에게 꽃과 메달을 전달했고 흰색과 녹색 한복의 시상 요원은 각각 은·동메달리스트에게 메달을 건넸다. 시상 요원 앞에서 안내를 맡은 여성은 좀더 화려한 색깔의 한복을 입어 한국 전통의 미를 뽐냈다.

이날 공개된 평창동계올림픽 시상 요원의 의상은 겨울 의복인 두루마기에 누비나 패딩 기법을 사용해 보온성을 확보했다. 태극기의 청색과 홍색을 빌려 한국적인 정체성을 표현한 데다 동계올림픽의 눈꽃 문양을 가미했다. 옷의 흰색 부분은 ‘백의민족’을 상징한다. 방한을 위해 전통 모자의 일종인 풍차도 곁들여 평창의 ‘칼바람’을 견딜 수 있게 했다. 옷이 펑퍼짐해서 내복 등을 안에 껴입을 수 있다.

의상을 디자인한 금기숙 홍익대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교수는 “한국적인 아름다움의 현재화에 가장 중점을 뒀다. 예전엔 전통 의상을 고증하듯 그대로 썼다면 이번엔 21세기의 우리가 느끼는 한국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려고 했다”며 “과거의 것을 답습하지 않고 재창조했다. 한국을 아는 외국인들도 꽤 많아져 신선함을 보여 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평창올림픽 시상식 미리보기
평창올림픽 시상식 미리보기 메달 수여식 때는 한글 디자인과 강원 평창군의 산맥·눈꽃을 형상화한 시상품이 함께 전달된다.
연합뉴스
평창올림픽 시상식 미리보기
평창올림픽 시상식 미리보기 평창동계올림픽 영광의 주역들이 올라설 시상대의 모습. 눈을 연상시키는 순백의 컬러를 적용했다.
연합뉴스
한국 전통과 현대의 조화는 시상식 곳곳에서 발견된다. 메달리스트 시상품으론 조선시대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했던 ‘어사화’를 쓴 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 인형이 수여된다. 시상대는 전통 건축양식인 기와 지붕과 단청을 모티브로 했다. 동서양의 음악을 조화롭게 가미한 4분여 길이의 곡이 메달 수여식 배경 음악으로 사용된다.

음악 감독을 맡은 조영수 작곡가는 “자진모리 장단을 사용했고 한국 고유의 타악기에 서양 오케스트라를 접목했다. 전 세계 어느 사람이 듣더라도 대한민국의 색깔을 느끼면서도 이질감 없는 음악을 만들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추운 날씨 탓에 경기장에선 시상품만 전달하고 강원 평창군 메달플라자에서 공식 메달이 수여된다. 2016 리우올림픽과 마찬가지로 꽃다발은 환경 보호를 위해 평창 시상식에서도 전달되지 않는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7-12-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