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수위 상승… 여진 때 3㎝↓
강릉서는 본진 이후 3㎝ 올라가
오염물질 매립지 등에 고려 필요
6일(현지시간) 튀르키예 강진(규모 7.8)이후 문경 지하수 관측정의 수위가 7㎝, 강릉 지하수 관측정 수위가 3㎝ 상승했다. 규모 7.5 강진에는 문경 지하수 수위가 3㎝ 하강했다. 2023.2.14 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기후변화대응연구본부는 튀르키예 지진 발생 이후 국내 지하수 수위에 변동이 있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규모 7.8의 튀르키예 지진의 본진과 규모 7.5의 여진이 발생한 이후 경북 문경과 강원 강릉에 있는 국내 지하수 관측정 두 곳에서 지하수 수위 변화가 일어났다. 강릉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3㎝ 수위 상승이 탐지됐다. 문경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지하수 수위의 7㎝ 상승과 여진으로 인한 3㎝ 수위 하강이 관측되면서 튀르키예 강진의 영향이 확실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지진이 나면 지진파의 영향으로 지하수를 함유한 지층인 대수층의 주변 암석들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압축과 팽창이 일어난다. 특히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 급격한 움직임으로 지하수의 유출과 유입이 불규칙해진다. 풍선 속에 물을 넣고 강하게 쥐면 풍선 속 물이 오르락내리락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연구팀은 2010년 규모 7.7의 인도네시아 강진, 2011년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 2015년 규모 7.8의 네팔 강진 때도 지하수 수위에 변화가 있었다고 밝혔다. 한반도에서 9300㎞ 떨어진 뉴질랜드에서 2021년 발생한 규모 7.8 지진 때도 국내 지하수 수위의 변동이 확인됐다.
지진파는 지하수의 유출과 유입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땅속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방사성폐기물 및 오염물질 등을 매립하는 부지를 조성·관리할 때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뿐만 아니라 원거리 지진의 영향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조사를 이끈 이수형 박사는 “이번 관측을 통해 강진이 발생하면 수천㎞ 떨어진 곳에서도 지각이 흔들리고 지하수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지진과 지하수의 관계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3-02-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