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걸린 뒤 금염 못하면 2차 원발암 발생 가능성 증가
암 환자의 지속적 흡연은 암 전이 유발, 치료 악영향
암세포의 모습
네이처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 발병과 흡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암이 생긴 뒤에도 담배를 끊지 못하면 새로운 종류의 암에 걸릴 가능성은 물론 생존율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 연구팀은 5월 31일 ‘세계 금연의 날’을 맞아 2010년 7월부터 2022년 4월 30일까지 2차 원발암 판정을 받은 544명을 대상으로 흡연 유무를 조사한 결과 절반을 넘는 51%가 직·간접 흡연자라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인 2차 원발암 환자 544명 중 44%(241명)는 직접 흡연자였고, 간접 흡연자는 7%(38명)로 나타났다. 2차 원발암은 원래 발병한 암 이외에 새로 발생한 암을 말한다. 유방암 환자에게 대장암이나 갑상샘암 같이 다른 부위, 다른 종류의 암이 생기면 2차 원발암이 발병했다고 한다. 2차 원발암 발생은 암 환자 생존율을 급격히 낮춘다. 미국에서는 2차 원발암이 전체 암 발생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될 정도로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조사 대상인 2차 원발암 환자 544명 중 남성 환자는 300명으로 이 중 흡연자는 76%인 228명이었다. 2차 원발암 진단 당시 평균 나이는 65.1세로 나타났고 평균 흡연력은 37.2갑년(pack-year)으로 조사됐다. 갑년은 1년 동안 하루 한 갑씩 담배를 피웠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담배 소비량이다. 하루 한 갑씩 30년 동안 흡연하면 흡연력을 30갑년이라고 하고 하루 반 갑씩 30년 동안 흡연하면 15갑년이다.
연구팀은 지난해 암 환자의 흡연 유무에 대한 조사도 했다. 그 결과 폐암 환자의 81.3%, 식도암 환자 84.1%, 두경부암 환자 68.2%, 췌장암 환자 52.2%가 흡연 경험이 있었다.
조사를 이끈 양승오 핵의학과 주임과장은 “흡연과 관련된 암은 전체 암의 30% 이상으로 암 발병을 피하기 위해서는 금연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이번 연구는 암 환자의 지속적 흡연은 2차 원발암 발생 원인이 되고 생존율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