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변덕 심해진 ‘6월 장마’… 올해 시작과 끝은 언제쯤일까

갈수록 변덕 심해진 ‘6월 장마’… 올해 시작과 끝은 언제쯤일까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5-22 20:30
수정 2022-05-23 0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마다 장마전선 형성 기단 변화
제주 장마 2020년 49일·작년 17일
건기와 우기 반복되는 경향 뚜렷
장마철 집중호우·강수량 증가세

이미지 확대
2020년 여름 역대 최장 기간 내린 비로 광주 시내 거리는 물에 잠겼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한반도의 장마 패턴과 기후가 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신문DB
2020년 여름 역대 최장 기간 내린 비로 광주 시내 거리는 물에 잠겼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한반도의 장마 패턴과 기후가 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신문DB
2020년에는 6월 10일 제주를 시작으로 남부와 중부는 24일 장마가 시작됐다. 제주 7월 28일, 남부 7월 31일, 중부 8월 16일까지 각각 49일, 38일, 54일 동안 지루한 장마철이 이어졌다. 이 때문에 남부를 제외한 중부와 제주는 역대 가장 긴 장마로 기록됐다. 이듬해인 2021년에는 제주, 남부, 중부지방 모두 역대 가장 늦은 7월 3일에 장마가 시작돼 17일째인 7월 19일에 끝났다. 제주 장마는 역대 최단기간이었다.

이처럼 한반도 여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장마의 시작과 끝은 물론 장마 기간까지도 예측 불가해지고 있는 추세다. 장마가 시작되는 6월을 앞두고 기상청은 지난 20일 ‘장마의 특징 및 변동성’이라는 주제로 기상 강좌를 열었다.
여름철 지속적으로 많은 비를 내리는 장마는 흔히 북태평양 고기압과 북쪽 오호츠크해 기단이 만나면서 형성된 정체전선 때문으로 알고 있다. 중국 메이유, 일본 바이우와 함께 동아시아 지역 여름 몬순 현상 중 하나이지만 한국 장마는 더 복잡하다.

메이유는 열대 몬순과 대륙성 기단, 바이우는 열대 몬순이나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에 영향을 받는다. 그렇지만 장마는 한반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온다습한 열대 몬순 기압골, 남동쪽에 있는 고온습윤한 북태평양 고기압, 북동쪽의 한랭다습한 오호츠크해 고기압, 북서쪽의 고온건조한 대륙성 기단, 여기에 최근 극기단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 이들 기단의 세력 다툼 결과에 따라 정체전선 위치와 시작과 종료, 기간, 강도가 큰 폭으로 변해 장마 예측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기상 강좌 발표자로 나선 서경환 부산대 대기환경과학과 교수는 1973~1993년, 1994~2020년의 강수율 비교를 통해 장마가 시작되기 전인 6월 초에는 강수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가 장마에 돌입하는 6월 하순부터 7월 초 강수가 증가하는 패턴을 보인다고 밝혔다. 이후 7월 말부터 8월 초 사이에 강수가 다소 줄어들었다가 장마가 끝난 8월 하순에 흔히 가을장마라고 말하는 ‘2차 우기’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전반적인 한반도의 여름철 강수 특징도 변하고 있다. 시간당 10~30㎜, 30㎜ 이상 집중호우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0년대부터 최근 10년 동안은 집중호우 비율이 다소 주춤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70%의 높은 확률로 장마철 집중호우 추세는 점점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한반도의 여름 강수량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서 교수에 따르면 2020~2039년 동서 방향의 대륙·해양 기온 차이와 인위적 배출원에 의해 대기로 유입되는 수증기 플럭스가 증가하면서 한반도 여름철 전체 강수량은 5%가량 증가한다. 적은 양처럼 보이지만 서울의 경우 여름(6~8월) 평균 강수량이 892.1㎜라는 점을 고려할 때 약 45㎜의 비가 더 내린다는 설명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여름철 강수량은 점점 늘어 2040~2059년에는 15%, 2060~2079년에는 20%, 2080~2099년에는 25%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장마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은 다섯 가지나 된다. 해마다 장마전선을 형성하는 주(主) 기단이 달라지면서 정체전선 위치가 변하고 장마 예측을 어렵게 만든다. 기상청 제공
장마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은 다섯 가지나 된다. 해마다 장마전선을 형성하는 주(主) 기단이 달라지면서 정체전선 위치가 변하고 장마 예측을 어렵게 만든다.
기상청 제공
서 교수는 “열대 지역의 건기, 우기 개념과는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여름도 6월 초 건조한 날씨를 보였다가 장마가 시작되고 장마 기간 이후 잠시 비 없이 무더운 날씨를 보이다가 2차 우기가 시작되는 형태로 건기와 우기가 반복되는 분위기”라며 “한반도 기후가 조금씩 변하고 있는 상태로 봐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2-05-2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