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강릉시에 따르면 올림픽 개최 기간 필요한 숙박시설은 조직위원회와 운영요원, 차기대회 조직위, 기자단 등을 위한 필수 객실만 1만 8000여실에 이르고 관람객 등까지 포함하면 최소 3만실 이상이 확보돼야 하지만 현 상태만으로는 3200실 정도가 부족하다.
또 자원봉사자 1만 5000여명을 위한 숙박대책이 없어 교육 당국 등과 협의를 통해 올림픽 기간 지역 내 초·중·고교 교실을 활용하는 방안까지 검토되고 있다. 이처럼 동계올림픽에 대비한 숙박시설이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민간 홈스테이(민박)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일반 가정이 동참하더라도 식비 정도는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사전에 숙박업으로 등록해야 하는 등 까다로운 절차에 직면하게 된다. 올해 아시아게임을 개최하는 인천시 한 관계자는 “동참 가정이 적을 게 우려돼 숙박업 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홈스테이 가정을 모집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문제가 될 경우 사실상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처럼 올림픽이나 아시아게임 같은 대규모 국제행사의 경우 숙박문제 해결이 가장 큰 애로사항이 되는 만큼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홈스테이에 한해 숙박업 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외국인 등을 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일반 가정에서 홈스테이에 동참할 경우 올림픽 붐 조성에 도움이 되고, 외국인 등은 저렴한 가격에 숙박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는 점에서 정부와 정치권 차원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강릉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