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기업 구조조정 맞물려 축소·재검토해야” vs 주민들 “폐광지역 경제회생·희망 날아간다”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폐광지역 주민들) “공기업 구조조정과 맞물려 재검토해야 한다.”(정부)
|
지역 국회의원인 염동열 의원도 “워터월드 감사결과는 단순히 수치상 평가로 적자시설로 판단하기보다는 강원랜드의 미래와 폐광지역 실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이번 면담을 통해 워터월드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과 감사원의 시각차를 좁혀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감사원은 ‘지역주민의 여론을 반영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에 그친 데다 공공기관 개혁과 맞물려 워터월드 사업에 대해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폐광지역사회의 추가 대응이 주목된다. 특히 감사원이 워터월드에 대해 축소입장을 발표할 경우 사실상 전면적인 재검토로 사업 재추진조차 불투명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주민들은 보고 있다.
강원랜드 워터월드 조성사업은 지난해 사업 타당성을 인정받아 2016년 개장을 목표로 다음 달 착공될 예정이었다. 1640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강원랜드 워터월드는 전국 최고의 테마가 있는 빅3 워터월드로 조성될 계획이다. 정부를 통해 건설업체까지 선정해 놓은 상태다. 하지만 공기업 구조조정과 맞물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워터월드 조성사업의 사업 타당성이 논의되면서 도마에 올랐다. 또 감사원이 지난해 11~12월 강원랜드에 대한 정기감사를 실시하고 이달 중 워터월드사업을 포함한 감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강원랜드 관계자는 “폐광지역을 살리기 위해 사계절 복합리조트를 만들겠다는 취지에서 6, 7년 전부터 구상된 사업으로 강원랜드가 종합리조트로 가기 위해 추진하는 마지막 대형 투자사업”이라고 말했다.
정선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4-03-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