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훼손” vs “관광객 유치 효과”
“바다 환경을 해치는 ‘애견 해변’ 안 된다.”(경포해변 주민들)“관광객을 모으니 효자 프로그램 아닌가.”(강릉시 공무원들)
|
8일 강릉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피서철 경포해변 북쪽 사근진 해변 일부에서 운영했던 애견 전용 해변에 대한 반응이 좋아 올여름에도 계속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여름 사근진 애견해변에는 피서객 1만 4020명과 애견 8980마리가 다녀갈 정도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올여름에는 애견 보호용 펜스를 설치하고 애견 전용 풀장과 샤워장을 설치하는 등 애견 관련 편의시설을 대폭 확충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부 해변 주민들은 애견들이 해변에 대소변을 배설하고 털이 인접 해변으로 날아드는 등 개들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해 피서객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다며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경포번영회 허병관 회장은 “맑은 바다를 찾아 피서 온 관광객들이 백사장에 널려 있는 개의 분변과 털로 불쾌감을 나타내며 되돌아가는 사례가 늘어나는 등 폐단이 많아 올여름부터는 절대 애견 전용 해변을 개설해서는 안 된다”면서 “지난해 피서철 뒤 주민들이 투표까지 하며 행정당국에 애견해변 반대 의사를 분명히 전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주민들도 “펜션 등 숙박업소들도 애견과 함께 숙소를 찾는 손님들로 인해 개털이 날려 다음 손님들이 불쾌감을 보이며 찾지 않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대해 강릉시 관광과 관계자는 “애견인구 100만 시대를 눈앞에 둔 국내 현실에서 피서철 애견과 함께할 수 없어 고민하던 피서객들이 당당하게 애견과 즐길 수 있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애견 전용 해변 운영을 바라는 의견도 많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애견 전용 해변의 계속 운영을 위해 다른 대상지를 찾아 주민들과 접촉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고 말을 맺었다.
강릉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4-04-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