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최근 현대화 공사를 거친 삼천메기공장을 시찰하는 모습. 조선중앙TV에 21일 공개된 시찰 사진에서 김정은은 환하게 웃으며 공장을 둘러보고 있다. 김정은은 이복형 김정남이 말레이시아에서 피살된 후 첫 공개 활동이었던 지난 15일 광명성절(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75돌 기념 중앙보고대회 참석 당시에는 어둡고 굳은 표정이 뚜렷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김정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경우 집권 초기에 약 2000명을 숙청한 것으로 추산됐다.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 후 숙청한 간부의 숫자가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집권 초기보다 적다는 것이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22일 고려대 SSK사업단이 주최하는 ‘제2회 동북아 정세와 북한 문제 - 김정은 정권 5년 평가와 전망’ 세미나에서 ‘김정은의 리더십 특징과 평가’를 주제로 이와 같은 내용을 발표한다.
정 실장은 미리 배포한 발표문에서 “다수의 전문가는 김정은의 ‘즉흥적’ 결정에 의해 김정일 시대보다 더 많은 간부가 숙청되고 있는 것처럼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김정은 집권 이후 지난해까지 약 5년간 140여 명의 간부가 숙청된 것으로 알려진 반면 김일성 사망(1994년 7월) 후인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약 3년간 ‘심화조사건’을 통해 숙청된 간부는 2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는 것이다.
심화조사건은 당시 김정일 위원장의 지시로 실시된 한국전쟁 당시 북한 간부들에 대한 행적 조사 과정에서 문성술 당 중앙위 조직지도부 본부당 책임비서 등 많은 고위간부가 간첩죄로 숙청된 일을 가리킨다.
앞서 우리 정보당국 등은 김정일 집권 초기 4년간 처형자가 약 10명에 불과하다며 김정은의 ‘공포통치’를 상대적으로 부각시켰으나 김정일이 집권 초기 훨씬 더 간부들을 가혹하게 대했다는 게 정 실장의 주장이다.
정 실장은 또 “김정은의 통치행태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공포통치나 애민정치 등 어느 한 측면만 가지고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또 “김정일 사망 직후 국내외 다수의 전문가는 김정은 체제가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예상과는 반대로 김정은은 대내적으로 최고지도자로서 권위를 확립하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