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 허목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척주동해비 전면
척주동해비는 글씨의 아름다움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신이(神異)한 능력을 발휘한 설화로도 유명하다. 허목 부사 당시 삼척은 파도가 읍내까지 밀려오고, 오십천이 범람해 피해가 극심했다고 한다. 이에 미수가 ‘동해송’(東海頌)을 지어 정라진에 척주동해비를 세우자 바다가 잠잠해졌다는 것이다. 허목의 능력이라기보다는 그의 예술적 성취가 발산한 영기(靈氣)가 천지자연마저 감응시킨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허목은 눈썹이 눈을 덮을 정도로 길어 눈썹 미(眉), 늙은이 수 자로 호를 지었다고 자신의 문집 ‘기언’(記言)에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그의 초상화도 희고 두터운 눈썹이 남달라 보인다. 화폭 상단에 적힌 채제공의 글에 의하면, 정조는 허목의 인물됨에 크게 감동하여 은거당이 그린 82세의 허목 초상을 당대 최고 화사 이명기에게 재현하도록 했다고 한다. 채제공은 정조시대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인사다.
미수는 만년에 남인의 핵심인물로 부상하기도 했지만, 오랫동안 정치적 소수파에 머물렀다. 예술가로서 허목은 산림(山林)에 머물던 시절 중국의 상고시대 문자를 탐구해 특유의 서체를 만들었는데 세상은 미수의 전서라는 뜻에서 미전(眉篆)이라고 불렀다. 그의 글씨에 담긴 미래지향적 창조정신은 당시 사람들에게도 크게 인정받았던 것 같다.
허목수고본(許穆手稿本)의 ‘척주동해비’ 원본 글씨.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충효당(복각본) 편액
완귀정 편액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