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계간지 ‘뉴필로소퍼’ 여름호(23호)
현대인이 겪는 산만함에 대한 철학적 고찰
멀티태스킹의 다른 말은 산만함이다. 산만함은 주의집중력을 떨어 뜨리기도 하지만 집중력을 오래 가져가기 위해서는 산만함의 시간도 필요하다는 모순적인 주장도 있다.
픽사베이 제공
픽사베이 제공
학창 시절 성실했던 학생들도 현대를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산만함을 겪고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스마트기기와 소셜미디어(SNS)다.
‘일상을 철학 하다’를 모토로 하는 철학 중심 인문학 계간지 ‘뉴필로소퍼’ 여름호(23호)는 ‘산만한 시대를 위한 변명’이라는 주제로 현대인이 겪는 산만함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시도했다.
‘산만’이란 뜻의 영어 단어 ‘distraction’의 사전적 의미는 ‘집중을 방해하는 것’이라는 부정적 의미와 함께 ‘머리를 식혀주는 것’이라는 긍정적 의미를 갖고 있다.
20세기 초 미국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는 “산만함은 제 의지로 자유를 실천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저지하는 낯선 힘”이라고 말하며 산만함이 성격이 아닌 외부에서 공격으로 봤다.
실제로 2000년대 말 아이폰이 처음 선보인 이후 2010년대에 스마트폰과 각종 스마트기기가 대중화되면서 산만함은 멀티태스킹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면서 인류 보편적 특성이 됐다. 끊임없이 울리는 메시지 도착음과 각종 SNS가 집중을 방해하고 심지어 동영상도 5분이 넘어가면 지루하다고 해서 1분이 넘지 않는 짧은 영상(숏폼)이 대세가 됐다.
대중 철학 계간지 ‘뉴필로소퍼’ 여름호
산만함은 ‘주의 환기’라는 이름으로 옷을 바꿔 입으며 주위를 살피지 않고 한 가지 행동에 몰두하다가 큰 사고를 당하는 것을 막아주기도 한다는 것이다. 또 집중력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뇌의 주의력 연결망을 느슨하게 풀어 주는 산만함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스틱켈 교수는 “하루 중 산만한 시간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라면서 “산만한 시간이 있어야 주의력 연결망이 다시 힘을 얻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스틱켈 교수를 비롯한 필자들은 “오랜 인류의 역사를 보면 한 인간과 이 세계를 발전하게 한 것은 집중하는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궁극의 몰입과 집중력이 짧아진 스마트기기의 시대를 피할 수 없지만 짧더라도 각자의 노력으로 잠깐 플러그를 빼듯 자신에게만 집중할 수 있는 혼자만의 시간으로 돌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