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악관현악단 ‘부재’ 공연
인간 동작 모방해… 청각은 없어
연주와 무관하게 박자 밀어붙여
소통 어렵지만 상상력 확대 의의
국립국악관현악단 지휘하는 ‘로봇 마에스트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개발한 에버6가 26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에서 국립국악관현악단을 지휘하고 있다. 오는 30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리는 ‘부재’ 공연에 지휘자로 나서는 에버6는 비얌바수렌 샤라브의 ‘깨어난 초원’과 만다흐빌 비르바의 ‘말발굽 소리’를 단독으로, 손일훈이 작곡한 ‘감’은 지휘자 최수열과 공동으로 이끈다.
뉴스1
뉴스1
첨단기술과의 공존이 화두가 된 시대에 오는 30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리는 ‘부재’는 로봇이 예술 분야에서도 인간과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하는 가능성을 시험해 보는 무대다. 해외에서는 일본 아시모(2008년), 알터2(2018년), 알터3(2020년), 스위스의 유미(2017년) 등이 앞서 데뷔했고, 국내에서는 에버6가 최초다.
에버6는 지휘자의 존재 역할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됐다. “박자만 정확히 셀 수 있다면 지휘자 없는 오케스트라가 가능할까” 하는 호기심이 로봇 지휘에 대한 상상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지휘자 프로젝트를 통해 선발된 정예지가 에버6 동작의 모델이 됐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약 1년간 정예지의 지휘봉 운동 속도, 궤적 등 동작을 학습시키고 꾸준히 보완했다. 시연에 나선 에버6는 몸에 달린 모터의 진동 때문에 반동은 컸지만 꽤나 부드럽고 유연한 움직임을 보였다.
또한 에버6는 인간이 따라갈 수 없는 정확한 박자 감각을 자랑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지나친 정확성이 단원들과의 소통, 교감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했다.
최수열은 “모든 음악에는 호흡이 존재하는데 호흡이 없다 보니 에버6가 정확하게 가고 있는 게 불편하더라”면서 “음악가인데 듣지를 못한다. 눈치도 안 보고 굉장히 냉정한 친구라 그대로 밀어붙여서 우리가 맞출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청력을 상실한 베토벤도 듣지 못하기는 마찬가지였지만 그래도 베토벤은 연주자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에버6와는 확연히 다르다. “지휘 동작을 할 수 있는 퍼포머”라는 최수열의 표현대로 에버6는 인간의 신체적 기능을 대신할 수는 있어도 아직 정서적 기능을 대신할 수 없는 로봇의 한계를 보여 줬다.
아직 여러 면에서 부족함을 드러냈지만 에버6의 지휘는 향후 로봇의 역할 확대와 인간의 상상력을 확장하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악단 예술감독 직무대리이자 연주자로 공연에 참여하는 여미순은 “예술은 보이지 않아도 일단 가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로봇 지휘자가 아니었다면 ‘감’ 같은 곡을 안 했을 거다. 무한한 상상력에서 무한하게 창의적인 곡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2023-06-2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