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행랑 친 ‘53년 독재’ 최악의 학살자, 결국 러시아로 망명했다

줄행랑 친 ‘53년 독재’ 최악의 학살자, 결국 러시아로 망명했다

윤예림 기자
입력 2024-12-09 06:29
수정 2024-12-09 06: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리아 탈출한 알아사드 대통령, 모스크바 도착
러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망명 허가”

이미지 확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이 올해 7월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을 만나 악수를 하는 모습. 로이터 크렘린풀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이 올해 7월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을 만나 악수를 하는 모습. 로이터 크렘린풀 연합뉴스.


시리아 반군에 의해 수도 다마스쿠스가 함락되기 직전 이곳을 떠난 것으로 알려진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러시아 모스크바로 피신한 것으로 전해졌다.

타스와 스푸트니크 통신은 8일(현지시간) 러시아 대통령실(크렘린궁) 소식통을 인용해 “알아사드 대통령과 그 가족이 모스크바에 도착했다”며 “러시아는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이들에게 망명을 허가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항공기 항로 추적사이트 ‘플라이트레이더24’(Flightradar24)를 토대로 다마스쿠스가 시리아 반군에 함락됐다는 보도가 나온 무렵 항공기 한 대가 다마스쿠스 공항을 이륙했다고 보도했다.

이 항공기에 알아사드 대통령이 탑승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이 항공기는 러시아 해군기지가 있는 시리아 중서부 타르투스를 향해 날다 갑자기 신호가 사라져 추락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8일 시리아 반군이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자 튀르키예 이스탄불 주재 시리아 영사관 밖에 모인 시위대가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초상화를 발로 짓이기고 있다. 이스탄불 AFP 연합뉴스
8일 시리아 반군이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자 튀르키예 이스탄불 주재 시리아 영사관 밖에 모인 시위대가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초상화를 발로 짓이기고 있다. 이스탄불 AFP 연합뉴스


알아사드 대통령은 쿠데타로 권력을 잡아 1971∼2000년 장기 집권한 아버지 하페즈 알아사드로부터 권력을 넘겨받았으며, 알아사드 부자가 53년간 독재 철권통치를 해왔다.

알아사드 대통령은 특히 내전 발발 후에는 화학무기까지 써가며 민간인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국제사회에선 ‘중동의 불사조’로 불리며 최악의 학살자, 전쟁 범죄자로 거론돼 왔다.

러시아는 지난 2015년부터 알아사드 정권 편을 들어 시리아 내전에 군사 개입을 해왔다. 이 과정에서 알레포 등 주요 반군 거점에 무차별 폭격을 가해 수만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동시에 시리아에 러시아의 육·해·공군 기지를 세우고 시리아를 러시아의 중동 개입을 위한 지렛대로 삼아왔다.

알아사드 정권이 축출된 날 러시아 외무부는 “시리아에서 포용적 과도정부를 수립하려는 노력을 지지한다”고 입장을 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