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 암살사건 수사 등을 놓고 북한과 갈등해온 말레이시아가 결국 비자면제협정 파기라는 초강수를 내놓았다.
이번 조치가 향후 양국 간의 국교단절 등으로 확대될지 주목된다.
말레이시아 국영 베르나마 통신은 2일 자히드 하미디 말레이 부총리의 발언을 인용해 북한과의 비자면제협정을 6일자로 파기한다고 보도했다.
하미디 부총리는 “국가 안보를 위해 북한과의 비자면제협정을 파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국 간 비자 협정은 지난 2009년 체결됐다.
당시 협정 체결로 말레이시아 국민은 북한을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첫 국가가 됐지만, 8년 만에 협정이 파기되면서 앞으로는 별도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번 조치는 북한의 외화벌이 등에 적잖은 타격을 미칠 전망이다.
현재 말레이시아 광산 등에 1천여명의 북한 근로자들이 근무하고 있는데다, 사업차 현지를 찾는 북한인들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북한을 방문하는 말레이시아인은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말레이 당국의 협정 파기 결정은 김정남 암살사건 후속처리 과정에서 북한대사관이 경찰의 부검강행과 시신 인도 지연 등을 강도 높게 비판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강철 대사 등이 경찰의 수사진행 상황 등을 비판한 이후 말레이 정관계에서는 북한과 비자면제협정 파기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빗발쳤다.
더욱이 현재 말레이시아에서는 북한의 전향적인 태도변화가 없을 경우를 가정해 국교단절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향후 양국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있다.
말레이시아는 북한과 1973년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 2003년 평양에 대사관을 설립했다.
또 2009년 북한과 비자면제협정을 체결해 현재 말레이에선 1천여 명가량의 북한 근로자들이 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조치가 향후 양국 간의 국교단절 등으로 확대될지 주목된다.
말레이시아 국영 베르나마 통신은 2일 자히드 하미디 말레이 부총리의 발언을 인용해 북한과의 비자면제협정을 6일자로 파기한다고 보도했다.
하미디 부총리는 “국가 안보를 위해 북한과의 비자면제협정을 파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국 간 비자 협정은 지난 2009년 체결됐다.
당시 협정 체결로 말레이시아 국민은 북한을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첫 국가가 됐지만, 8년 만에 협정이 파기되면서 앞으로는 별도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번 조치는 북한의 외화벌이 등에 적잖은 타격을 미칠 전망이다.
현재 말레이시아 광산 등에 1천여명의 북한 근로자들이 근무하고 있는데다, 사업차 현지를 찾는 북한인들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북한을 방문하는 말레이시아인은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말레이 당국의 협정 파기 결정은 김정남 암살사건 후속처리 과정에서 북한대사관이 경찰의 부검강행과 시신 인도 지연 등을 강도 높게 비판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강철 대사 등이 경찰의 수사진행 상황 등을 비판한 이후 말레이 정관계에서는 북한과 비자면제협정 파기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빗발쳤다.
더욱이 현재 말레이시아에서는 북한의 전향적인 태도변화가 없을 경우를 가정해 국교단절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향후 양국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있다.
말레이시아는 북한과 1973년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 2003년 평양에 대사관을 설립했다.
또 2009년 북한과 비자면제협정을 체결해 현재 말레이에선 1천여 명가량의 북한 근로자들이 일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